CNISNS

페이지 경로

>간행물>정책지도

정책지도

충청남도 공공상수도 취약지역 분석 및 과제
출판/충남정책지도

충청남도 공공상수도 취약지역 분석 및 과제

기간
2023. 05. 24 ~ 2023. 05. 24
연구자
김영일
키워드
공공상수도,충청남도,수질기준,미보급지역,소규모수도시설,물안보,분산형시스템,정책제언
다운로드

0523_충남연구원 정책지도_최종.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0523_충남연구원 정책지도_최종(2).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충청남도는 낮은 도시화율과 농촌지역의 분산된 구조로 인해 공공상수도 공급의 지역 간 불균형이 심각하며 외부상수원 의존도가 871로 매우 높아 물안보에 취약하다 특히 금산군 청양군 태안군 등은 공공상수도 미보급 인구 비율이 높고 청양군의 공공상수도 취약인구 비율은 444에 달한다 충남의 소규모 수도시설 이용 인구 비율은 50로 전국 평균을 크게 상회하며 이는 수돗물 수질안전에 큰 불균형을 초래하고 있다
충청남도 전체에서 14에 해당하는 31164명이 공공상수도를 공급받지 못하고 있으며 소규모 수도시설의 수질기준 초과 항목 중에서는 비소 총대장균군 질산성 질소 라돈 등이 주요 문제로 나타났다 수질기준을 초과한 시설 비율은 128로 특히 청양군에서 가장 많고 천안시 예산군 논산시 순으로 분포되어 있다 수질기준 초과의 원인은 지역의 수질오염원 지질 특성 시설의 운영관리 미흡 등으로 분석된다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 다중 수원을 활용한 수원 다변화와 분산형 용수공급시스템 도입이 필요하며 지역 특성을 고려한 신규 공공상수도 공급사업이 요구된다 또한 공공상수도 보급을 위한 명확한 기준과 체계적인 관리방안을 수립하고 미보급지역의 거리 수질조건 최소 인구 규모 등을 고려한 기준 마련이 필요하다
수질기준을 초과하는 시설과 노후화된 시설은 우선적으로 대체 관정 개발 맞춤형 수처리시설 설치 시설 통폐합 개량 및 폐쇄가 추진되어야 한다 아울러 소규모수도시설의 통합운영과 원격감시 체계 도입을 위해 IoT 및 ICT 기술을 활용한 통합관리시스템 구축이 중요하며 이를 통해 공공상수도 취약지역의 수질안전성 확보와 운영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다

목차

배경 및 목적
1 충청남도 상수도 공급현황
2 충청남도 공공상수도 취약지역 현황
정책제언
공공상수도 공급사업의 패러다임 전환
공공상수도 운영관리 효율화 방안

연구자의 다른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