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간행물

간행물

(해외출장보고서)공무국외 결과보고_중부권 초미세먼지의 물리화학적 특성 및 지역 발생원 조사
출판/해외출장

(해외출장보고서)공무국외 결과보고_중부권 초미세먼지의 물리화학적 특성 및 지역 발생원 조사

기간
2023. 09. 01 ~ 2023. 09. 10
연구자
박세찬
키워드
에어로졸,충청남도,대기질,PM2.5,예측모델,국제학회,측정장비,정책제언
다운로드

공무국외여행 활동개요서_2.0(3).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충청남도 기후변화대응연구센터는 스페인 말라가에서 열린 European Aerosol Conference 2023에 참석하여 미세먼지 관련 연구결과를 발표하고 해외 연구 동향과 측정 장비 현황을 조사하였다 김종범 책임연구원은 서울 안산 서산 지역을 대상으로 PM25의 배출특성과 화학조성을 분석하고 고농도 사례에 대한 국내외 영향 요인을 검토하였으며 박세찬 책임연구원은 서산 지역의 실시간 데이터를 활용하여 SHAP 분석과 인공지능 기법을 통한 PM25 예측 연구를 수행하였다
국외 연구 동향 조사에서는 저가형 센서를 활용한 지역별 대기질 모니터링 생물성 연소 및 산불에 따른 Black Carbon 분석 도로변 오염물질 배출 특성 실내공기질 연구 및 2차생성 에어로졸에 대한 다양한 사례가 소개되었다 특히 유럽에서는 장거리 이동 황사 VOCs SOA 등에 대한 분석과 모델링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었으며 고정밀 장비와 실시간 데이터 기반 접근이 두드러졌다
측정 장비 부문에서는 Black Carbon 측정용 AE43 중금속 실시간 분석용 Xact 625i 입자특성 분석장비 온실가스 멀티 분석장비 등이 전시되었으며 이들 장비는 기존 공정시험법의 한계를 보완하여 실시간 모니터링과 고정밀 데이터 생산을 가능하게 한다 충청남도의 대기질 개선을 위해 이와 같은 장비 도입의 필요성이 강조되었다
한국인 에어로졸 연구자 모임에서는 정부의 연구개발 예산 감축에 따른 대응 방안과 지자체 협력 가능성 공동연구 발굴 필요성 등이 논의되었다 연구자 간의 정보 공유와 협력체계 강화가 앞으로의 과제로 제시되었다
충청남도는 대형배출시설이 집중된 지역 특성을 고려하여 첨단장비 도입 지역전문가 양성 맞춤형 연구과업 설계 국가 연구기관과의 연계를 통해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대기질 개선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으며 중장기적 관점에서 지역 연구 역량 강화를 위한 정책적 노력이 요구된다

목차

1 출장 개요
가 목적
나 필요성
다 학술대회 일정
라 이동경로
마 출장자
바 출장지
사 방문기관
2 주요여행 활동내역
3 지출금액
4 기타사항
5 활동내역
가 European Aerosol Conference 2023 개요
나 연구내용 발표
1 김종범 책임연구원
2 박세찬 책임연구원
다 국외 에어로졸 관련 연구동향 조사
1 저가형 센서를 활용한 측정분석
2 Biomass burning 및 Forest Fire 관련 Black Carbon 연구
3 도로변 오염물질 발생
4 실내 공기질관련 연구
5 2차생성 에어로졸 관련 연구
6 장거리 이동관련 연구
라 에어로졸관련 측정분석 장비 현황
1 Black CarbonBC 측정장비
2 중금속 분석장비
3 입자특성 분석 장비
4 온실가스 멀티 분석장비
마 한국인 에어로졸 연구자의 밤 참석
6 충청남도 정책 제언
가 최첨단장비에 대한 도입 필요
나 지역 전문가 육성 및 연구환경 개선
다 세계적인 연구 트렌드를 반영한 지역 내 맞춤형 연구 과업 발굴
라 국가 및 출연기관들과의 지속적인 연계와 관심
7 첨부자료
가 EAC 프로그램집
나 초록
다 발표자료
라 기타 수집 자료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