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당진시 산업입지 수요관리방안 연구
현안

당진시 산업입지 수요관리방안 연구

기간
2023. 02. 07 ~ 2023. 06. 30
연구책임자
김양중
키워드
1차 금속 제조업,산업단지 수급,실수요자 방식,당진시 산업입지,산업용지 공급,배정물량 회피,제조업 성장,미분양 해소
다운로드

현안과제_당진시산단수급대응방안.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본 보고서는 당진시의 산업입지 수요를 분석하고 향후 산업단지 개발을 위한 대응 방안을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충남 북부권 제조업 중 당진시는 1차 금속 및 금속 가공 산업 중심으로 성장해왔으며 제조업 부가가치 비중은 2011년 62에서 2020년 77로 증가했다 이에 따라 당진시는 향후 지속가능한 제조업 성장을 위해 산업시설용지 확보가 필수적이다
그러나 산업입지 관련 법령에 따라 충남 전체는 산업시설용지 총면적이 연평균 수요 대비 10배를 초과하여 신규 산업단지 지정에 어려움이 있는 상황이다 당진시는 기준성장 기준으로 2026년부터 2035년까지 약 8424천의 산업시설용지가 필요하지만 2023년 현재 충남 전체의 지정가능 물량은 2000천 미만에 불과해 신규산단 추진은 2026년 이후에나 가능할 것으로 분석된다
이에 따라 당진시는 산업입지 수급관리 방안으로 두 가지 전략을 제시하였다 첫째는 배정물량 회피전략으로 실수요자 방식 산단개발 이전기업전용단지 특례 활용 기업혁신파크 등 국가공모사업을 통한 산업용지 확보 방안이 포함된다 이는 배정물량 제한을 받지 않기 때문에 효율적인 대응이 가능하다
둘째는 기존물량 전환전략으로 미분양 산업시설용지의 조속한 해소 및 미개발 산단의 지정해제를 통해 새로운 물량을 확보하려는 방안이다 특히 당진시는 국가산단 미분양률이 178로 높아 분양률 제고가 시급하며 지정해제를 통해 확보한 면적에 대해 충남도로부터 추가 배정을 유도할 수 있다
현재 추진 중인 산업단지는 당진 그린컴플렉스 일반산단과 송산2일반산단 23공구로 약 4650천 규모이다 이들 단지는 민관합동개발 방식으로 추진되며 당진시의 산업입지 확대에 핵심적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결론적으로 당진시는 전략적 대응을 통해 산업단지 지정 제약을 극복하고 지역산업의 지속 성장을 도모해야 한다

목차

1 충남 북부권 및 당진시 제조업 현황
1 충남 북부권 및 당진시 제조업 분석
2 충남 북부권 및 당진시 산업별 분석
2 북부권 및 당진시 산업시설용지 및 미분양 면적 검토
3 북부권 및 당진시 산업입지 공급면적20262035 추정
1 국토부 산업입지 수립지침
2 북부권 및 당진시 산업입지 공급면적 추정
4 당진시 산업단지 계획검토 및 수급대응방안
1 당진시 산업단지 계획
2 산업입지 수급계획 대응방안
5 요약 및 결론

연구자의 다른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