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홍예공원 접근성 개선을 위한 도청대로 교통량 분석
현안

홍예공원 접근성 개선을 위한 도청대로 교통량 분석

기간
2023. 06. 12 ~ 2023. 07. 31
연구책임자
박철희
연구자
전수광,김원철
키워드
도청대로,홍예공원,접근성 개선,교통영향분석,간선도로 서비스수준,교차로 지체시간,공원녹지화,대안 비교
다운로드

현안과제연구_홍예공원 접근성 개선을 위한 교통량 분석 및 검토(0726)_최종(18).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이 보고서는 내포신도시 홍예공원과 주변지역 간 단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도청대로 공원녹지화 및 보행도로 조성의 교통영향을 분석한 연구이다 홍예공원은 도시 중심공원으로서의 기능을 담당하나 인접 간선도로로 인해 접근성이 낮아 개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를 위해 4가지 대안을 설정하고 도청대로 및 주변 교차로의 교통량 통행속도 서비스 수준 등을 분석하였다
교통량 조사 결과 도청대로는 하루 평균 약 2만 대의 교통량을 보이며 오후 첨두시간대가 가장 혼잡했다 간선도로와 8개 주요 교차로에 대한 서비스 수준은 대부분 BC로 양호한 상태였으며 일부 구간은 통행속도 저하로 D 수준을 기록하였다 교차로 분석에서는 도서관사거리 교육청사거리 등에서 교통량이 높고 지체시간이 비교적 긴 것으로 나타났다
각 대안에 따른 교통영향 분석 결과 도로 차단이 포함된 대안ⅠⅡ는 일부 교차로의 지체시간 증가 및 서비스 수준 저하가 있었으나 전반적으로는 교통소통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면 도로 차로 축소만 이루어진 대안ⅢⅣ는 교통량 변화 없이 소통수준이 비교적 안정적으로 유지되었다
특히 대안Ⅱ는 예학청사사거리의 서비스 수준이 F로 하락하며 가장 큰 영향을 미친 반면 대안Ⅲ와 Ⅳ는 평균 통행속도가 소폭 감소하였지만 서비스 수준의 변화는 크지 않아 가장 현실적인 방안으로 평가되었다 교차로 서비스 수준은 전반적으로 대안에 관계없이 BC 수준을 유지했으나 일부 교차로에서 지체가 다소 증가하였다
결론적으로 도청대로 일부 구간의 공원녹지화는 교통 소통에 심각한 영향을 주지 않으며 다양한 대안 중 차로 축소 방식의 대안Ⅲ과 Ⅳ가 교통 흐름과 접근성 개선 측면에서 가장 적절한 방안으로 제시되었다 향후 사업 추진 시에는 예산 이해관계자 의견 지역 수요를 고려한 유연한 정책 판단이 필요하다

목차

1 과제 개요
2 교통현황 조사
3 교통현황 분석
4 도청대로 교통영향 분석
5 분석 종합

연구자의 다른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