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마이크로데이터를 활용한 청양군의 사회적인구 변화 분석
현안

마이크로데이터를 활용한 청양군의 사회적인구 변화 분석

기간
2023. 10. 11 ~ 2023. 11. 30
연구책임자
윤정미
연구자
조영재
키워드
청양군,사회적 인구,마이크로데이터,전입 전출,지방소멸,충청남도,청년인구,자연환경
다운로드

231129_마이크로데이터를 활용한 청양군 사회적인구변화분석_최종(2).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이 보고서는 청양군의 사회적 인구 변화를 마이크로데이터를 통해 시계열 분석하고 지방소멸 대응을 위한 정책 수립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분석 결과 청양군은 2012년부터 2022년까지 전출보다 전입이 많은 해가 대부분이었으며 특히 20152017년과 2022년에 순이동 인구가 각각 약 500명 250명으로 사회적 인구가 다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충남도 내에서의 전입과 전출이 3040를 차지하며 주요 이동 지역은 대전광역시 세종시 공주시 등이다
생산가능인구1564세의 전입 전출이 전체의 80 이상을 차지했으며 이 연령층은 최근 10년간 전입이 증가하고 전출은 감소해 순유입이 발생했다 반면 청년층2045세은 전입 비율이 점차 감소하고 전출 비율은 50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여성 청년의 전출 비율도 25를 넘었다 이는 청년층 정착을 위한 정책이 시급함을 시사한다
전입 사유는 직업과 가족이 주를 이루며 자연환경에 매력을 느껴 전입하는 경우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반면 전출 사유는 과거에는 가족이 주된 이유였으나 최근에는 가족과 직업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청년층의 전입전출 모두 일자리가 핵심 사유이며 교육을 이유로 한 전입도 다소 증가하는 추세다
고령자는 가족으로 인한 전입이 많았으나 점차 비중이 줄고 있으며 자연환경에 의한 전입이 증가하고 있다 전출은 여전히 가족이 주된 사유이며 그 외에는 주택 요인이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이는 고령층의 정주 여건 개선과 가족 기반의 돌봄 체계 강화가 필요함을 보여준다
전입 전출지 분석 결과 청양군 전입자는 대부분 충남도 내 인접 시군에서 유입되며 대전과 세종 등 대도시로부터의 유입도 꾸준하다 전출 역시 충남도 내 이동이 많으며 대전광역시와 세종시로의 이동이 두드러진다 청양군은 충남 내에서 지역 간 인구 이동의 중심 축 중 하나로 기능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청양군은 사회적 인구가 완만하게 증가하고 있으나 청년층 유출과 고령화 심화 등 구조적 문제가 병존한다 이에 따라 청년층 정착 유도를 위한 일자리 및 교육 인프라 강화 고령자 대상의 주거복지 정책 확대 자연환경을 활용한 이주 유도 전략이 함께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목차

연구 개요
청양군 전입 전출 시계열 변화분석
청양군 전입 전출 사유
청양군 주요 전입 전출지 분석
결론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