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공주시 신5도2촌 정책으로 체재형 주말농장 적용 가능성 검토 연구
현안

공주시 신5도2촌 정책으로 체재형 주말농장 적용 가능성 검토 연구

기간
2023. 10. 20 ~ 2023. 12. 31
연구책임자
조영재
연구자
윤정미
키워드
공주시,체재형 주말농장,신5도2촌 정책,귀농귀촌,전원생활,농촌체험,농막,주택임대
다운로드

23_1229_공주시 체재형 주말농장 적용 가능성 검토 연구(2).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본 보고서는 공주시의 신新5도2촌 정책에 체재형 주말농장 모델을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검토하고 관련 국내외 사례 분석을 통해 체류형 농촌 공간 조성의 방향을 제시한다 인구감소와 지방소멸이 심화되는 가운데 공주시는 서울세종 등 인접 도시민을 대상으로 전원생활 귀농귀촌 여가체험 등 다양한 수요에 대응하여 체재형 주말농장을 통한 생활인구 및 관계인구 유치를 모색하고 있다
국내 사례로는 경기도 체재형 주말농장 경북형 작은정원 증평 귀농인의 집 강진 푸소 등이 있으며 국외 사례로는 독일 클라인가르텐 러시아 다차 일본 시민농원이 분석되었다 이들 사례는 체류 및 거주공간 텃밭이나 정원 교류체험 프로그램이라는 세 가지 핵심요소를 중심으로 설계되고 있으며 도시민의 다양한 요구에 맞춰 운영방식과 체류기간 조성방식 등에 따라 여러 유형으로 분류된다
공주시는 접근성이 뛰어난 지리적 특성과 유휴공간이 풍부하다는 점을 활용하여 농막형 주말농장 전원펜션형 살아보기형 장기정주형 등의 모델을 제시하였다 특히 기존 빈집이나 유휴시설을 리모델링하여 활용하고 마을 공동체와의 연계를 통해 교류형 프로그램을 확대하는 방식을 강조하였다 또한 마을 만들기 사업 농촌체험 워케이션 귀농교육 등 다양한 정책과의 융복합도 고려되었다
체류 기간에 따라 당일치기형에서부터 1년 이상 중장기형 정주형까지 분류되며 임대형과 분양형 등 운영방식도 다양화할 수 있다 특히 교류체험형과 프라이버시 중심의 개인 체류형 등 수요자 맞춤형 구성이 중요하다 공주는 대전세종 인접 도시민을 1차 타깃으로 하여 도시농업 자연치유 세컨하우스 등 수요를 포착할 수 있는 전략적 입지를 갖추고 있다
보고서는 체재형 주말농장이 단순한 농업체험을 넘어 전원생활 실현과 도시민의 이주 전환을 유도하는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고 평가하며 체계적인 모델 개발과 정책 연계 다양한 유형의 복합적 추진전략이 공주시의 지속가능한 농촌 활성화와 인구유입 기반 조성에 기여할 수 있다고 결론짓는다

목차

1장 연구 배경 및 목적
2장 체재형 주말농장 관련 국내외 사례
3장 사례조사 결과 및 시사점
4장 공주시 체재형 주말농장 추진방안
5장 사례지역 적용 가능성 검토
6장 결론

연구자의 다른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