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내용
이 보고서는 환황해포럼의 성과와 한계를 분석하고 향후 지방정부 간 정책 교류와 협력을 활성화하기 위한 우수정책 사례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환황해포럼은 충청남도가 주도하는 국제 교류 플랫폼으로 초기에는 평화와 번영 공생을 주제로 다양한 의제를 다뤘으나 최근에는 발표 건수와 발표자 국적의 다양성이 줄며 내실이 약화되고 있다 특히 한국 발표자의 비중이 과도하게 높아졌으며 국제 네트워크 활용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포럼의 주제는 초기에 평화 중심이었으나 최근에는 번영과 공생으로 무게중심이 이동하고 있으며 환경 중소기업 문화관광 등 실질적인 지역 정책 의제가 중심이 되고 있다 발표 내용 역시 초기에는 다양한 주제가 다뤄졌으나 점차 해양 대기 경제 등 특정 분야로 집중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러한 변화는 주관기관의 변화와 코로나19 팬데믹 등 외부 환경의 영향을 반영한 것으로 분석된다
국내외 지방정부의 우수정책 사례로는 심천시의 제조 창업 생태계 베이징 중관촌의 과학기술 창업 항저우시의 디지털 경제 모델 등이 대표적으로 제시되었다 일본에서는 도시건축을 통한 재생구마모토 아트폴리스 유니버설 디자인을 통한 고령친화적 온천마을우레시노 출산율 제고 성공사례나기쵸가 주목받았으며 서구 사례로는 독일 폴란드 호주의 에너지 전환 정책과 미국 캘리포니아의 ESG 정책이 포함되었다
이들 사례는 각각의 지역 여건과 과제를 반영한 맞춤형 정책으로 산업혁신 인구문제 대응 환경 지속가능성 강화 등 다양한 방향에서 지방정부가 주도적인 정책 역량을 발휘한 결과로 평가된다 충청남도를 포함한 국내 지방정부들도 이와 유사한 방향에서의 정책 발굴과 적용을 통해 지역 문제 해결과 국제 교류의 확대를 도모할 수 있다
환황해포럼의 내실화를 위해서는 지역 차원의 정책 교류에 집중하고 지방정부가 주체가 되는 실천적이고 구체적인 우수정책 사례를 지속적으로 발굴해야 한다 또한 자매결연 네트워크의 전략적 활용 산하 연구기관 및 민간과의 협업 다양한 국가와 지역의 참여 유도를 통해 발표자 국적의 다양성을 회복해야 한다
결론적으로 환황해포럼은 지방정부 간 국제 협력의 중요한 장으로서 실질적 정책 공유와 네트워크 강화를 위한 방향 전환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지방정부는 지역 문제 해결을 넘어서 글로벌 협력체계 구축에 기여할 수 있는 역량을 강화해 나가야 한다
포럼의 주제는 초기에 평화 중심이었으나 최근에는 번영과 공생으로 무게중심이 이동하고 있으며 환경 중소기업 문화관광 등 실질적인 지역 정책 의제가 중심이 되고 있다 발표 내용 역시 초기에는 다양한 주제가 다뤄졌으나 점차 해양 대기 경제 등 특정 분야로 집중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러한 변화는 주관기관의 변화와 코로나19 팬데믹 등 외부 환경의 영향을 반영한 것으로 분석된다
국내외 지방정부의 우수정책 사례로는 심천시의 제조 창업 생태계 베이징 중관촌의 과학기술 창업 항저우시의 디지털 경제 모델 등이 대표적으로 제시되었다 일본에서는 도시건축을 통한 재생구마모토 아트폴리스 유니버설 디자인을 통한 고령친화적 온천마을우레시노 출산율 제고 성공사례나기쵸가 주목받았으며 서구 사례로는 독일 폴란드 호주의 에너지 전환 정책과 미국 캘리포니아의 ESG 정책이 포함되었다
이들 사례는 각각의 지역 여건과 과제를 반영한 맞춤형 정책으로 산업혁신 인구문제 대응 환경 지속가능성 강화 등 다양한 방향에서 지방정부가 주도적인 정책 역량을 발휘한 결과로 평가된다 충청남도를 포함한 국내 지방정부들도 이와 유사한 방향에서의 정책 발굴과 적용을 통해 지역 문제 해결과 국제 교류의 확대를 도모할 수 있다
환황해포럼의 내실화를 위해서는 지역 차원의 정책 교류에 집중하고 지방정부가 주체가 되는 실천적이고 구체적인 우수정책 사례를 지속적으로 발굴해야 한다 또한 자매결연 네트워크의 전략적 활용 산하 연구기관 및 민간과의 협업 다양한 국가와 지역의 참여 유도를 통해 발표자 국적의 다양성을 회복해야 한다
결론적으로 환황해포럼은 지방정부 간 국제 협력의 중요한 장으로서 실질적 정책 공유와 네트워크 강화를 위한 방향 전환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지방정부는 지역 문제 해결을 넘어서 글로벌 협력체계 구축에 기여할 수 있는 역량을 강화해 나가야 한다
목차
I 연구목적 및 방법
II 역대 환황해포럼 주제 개요
III 국내외 우수정책 사례
IV 환황해포럼 내실화를 위한 정책제언
II 역대 환황해포럼 주제 개요
III 국내외 우수정책 사례
IV 환황해포럼 내실화를 위한 정책제언
연구자의 다른 자료
-
홍원표
2017 제1차 충남미래연구포럼(CNI세미나2017-014) (홍성주,이석형,홍원표) 2017. 03. 09
개원21주년 기념 학술포럼_충남의 미래 2040(송미영,오용준,홍원표) 2016. 06. 10
제13회 충청중국포럼(홍원표) 2016. 08. 31
개원 20주년 학술 심포지엄-환황해권 시대 충남의 미래(윤용혁,송두범,홍원표,박인성) 2015. 06. 12
충청중국포럼 출범기념식 및 기념학술세미나(강희정, 홍원표, 이현우, 최철구) 2015. 05. 21
제21회 충청중국포럼(CNI세미나2017-037) (홍원표, 이문기, 길병성, 신현우, 최선묵, 최기봉) 2017. 05. 30
-
전춘복
(해외출장보고서)랴오닝성사회과학원 MOU 체결 및 학술세미나 개최 2019. 08. 20
충남 프랜차이즈산업 육성방향 및 과제 2024. 03. 01
코로나19의 사회ㆍ경제적 영향 분석 및 「긴급재난소득」의 효과 평가 연구 2020. 10. 05
2021 충남도정에 바란다 : 소상공인편 2021. 01. 06
충남의 국제산업협력 거점조성 연구 : (가칭) 충남 자동차부품 ICT/소부장 혁신플랫폼 벨트 조성 2021. 03. 01
충남의 인도네시아 해외사무소 설립 방향 2021. 03. 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