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내용
이 보고서는 지역 단위에서 미래산업을 과학적으로 발굴하기 위한 체계적인 프로세스와 분석기법을 제시하며 아산시 사례를 중심으로 정책적 제언을 담고 있다 지역 미래산업 발굴은 정책 결정 과정의 계획수립 단계에 해당하며 이는 외부환경 분석 내부현황 분석 벤치마킹 전략 방향 설정 전략체계 수립 실행과제 설계 집행계획 수립의 7단계로 구분된다 이 과정은 문헌조사 통계분석 네트워크 분석 전문가 조사 등을 통해 수행되며 다양한 정량정성 데이터가 활용된다
외부환경 분석은 사회 기술 경제 정치 환경 인구 자원 등 다양한 요인을 포괄하는 STEPPER 기법을 중심으로 진행되며 미래 유망산업의 동향 정책 방향 민간 투자 흐름 등을 파악하여 기회와 위협 요소를 식별한다 내부현황 분석은 산업생태계 노동시장 혁신역량 등을 중심으로 지역의 강점과 약점을 도출하며 시계열 및 지역 간 비교를 통해 지역의 경쟁력을 진단한다 이들 정보는 SWOT 분석을 통해 전략 설정에 활용된다
벤치마킹은 유사 지역의 사례를 분석하여 성공 요인을 추출하고 이를 자지역에 적용할 수 있는 시사점을 도출하는 과정으로 유추와 비교를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전략 방향 설정은 외부내부 분석 결과와 벤치마킹 시사점을 통합하여 가능한 전략 선택지를 도출하고 그중 지역 발전 단계에 적합한 전략을 선정하는 과정이다 이는 정책의 실현 가능성과 효과성을 고려한 조합을 구성하는 데 중점을 둔다
전략체계 수립과 실행과제 설계는 비전 목표 전략 과제를 구체화하는 과정으로 목표수단 간 연계성과 위계의 일관성 확보가 중요하다 집행계획 수립은 조직 재원 일정 등의 실행 기반을 설계하는 단계로 사업 추진의 현실성과 지속성을 높이기 위해 도시기본계획 등 법정계획과의 연계를 제안한다 이 단계에서는 실무 부서와의 협업과 상향식 접근이 강조된다
아산시를 위한 정책 제언으로는 중기계획 수립을 통한 정책적 긴장감 유지 미래산업 정의에 대한 이해관계자 간 합의 지역의 현재미래 정체성 확인을 통한 유형화 협동 연구체계 구축 등을 제안하였다 이는 미래산업 발굴의 혼선을 줄이고 정책 추진의 연속성과 실현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전략이다
결론적으로 이 보고서는 지역 미래산업 발굴을 위한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방법론을 제시함으로써 지방정부가 지역 특성을 반영한 전략 수립을 통해 지속가능한 산업 정책을 설계하고 실행할 수 있도록 돕고자 한다
외부환경 분석은 사회 기술 경제 정치 환경 인구 자원 등 다양한 요인을 포괄하는 STEPPER 기법을 중심으로 진행되며 미래 유망산업의 동향 정책 방향 민간 투자 흐름 등을 파악하여 기회와 위협 요소를 식별한다 내부현황 분석은 산업생태계 노동시장 혁신역량 등을 중심으로 지역의 강점과 약점을 도출하며 시계열 및 지역 간 비교를 통해 지역의 경쟁력을 진단한다 이들 정보는 SWOT 분석을 통해 전략 설정에 활용된다
벤치마킹은 유사 지역의 사례를 분석하여 성공 요인을 추출하고 이를 자지역에 적용할 수 있는 시사점을 도출하는 과정으로 유추와 비교를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전략 방향 설정은 외부내부 분석 결과와 벤치마킹 시사점을 통합하여 가능한 전략 선택지를 도출하고 그중 지역 발전 단계에 적합한 전략을 선정하는 과정이다 이는 정책의 실현 가능성과 효과성을 고려한 조합을 구성하는 데 중점을 둔다
전략체계 수립과 실행과제 설계는 비전 목표 전략 과제를 구체화하는 과정으로 목표수단 간 연계성과 위계의 일관성 확보가 중요하다 집행계획 수립은 조직 재원 일정 등의 실행 기반을 설계하는 단계로 사업 추진의 현실성과 지속성을 높이기 위해 도시기본계획 등 법정계획과의 연계를 제안한다 이 단계에서는 실무 부서와의 협업과 상향식 접근이 강조된다
아산시를 위한 정책 제언으로는 중기계획 수립을 통한 정책적 긴장감 유지 미래산업 정의에 대한 이해관계자 간 합의 지역의 현재미래 정체성 확인을 통한 유형화 협동 연구체계 구축 등을 제안하였다 이는 미래산업 발굴의 혼선을 줄이고 정책 추진의 연속성과 실현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전략이다
결론적으로 이 보고서는 지역 미래산업 발굴을 위한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방법론을 제시함으로써 지방정부가 지역 특성을 반영한 전략 수립을 통해 지속가능한 산업 정책을 설계하고 실행할 수 있도록 돕고자 한다
목차
1 연구목적 및 방법
2 지역 미래산업 발굴 프로세스
3 프로세스별 분석기법과 데이터
4 아산시 미래산업 발굴 정책 제언
2 지역 미래산업 발굴 프로세스
3 프로세스별 분석기법과 데이터
4 아산시 미래산업 발굴 정책 제언
연구자의 다른 자료
-
홍원표
2017 제1차 충남미래연구포럼(CNI세미나2017-014) (홍성주,이석형,홍원표) 2017. 03. 09
개원21주년 기념 학술포럼_충남의 미래 2040(송미영,오용준,홍원표) 2016. 06. 10
제13회 충청중국포럼(홍원표) 2016. 08. 31
개원 20주년 학술 심포지엄-환황해권 시대 충남의 미래(윤용혁,송두범,홍원표,박인성) 2015. 06. 12
충청중국포럼 출범기념식 및 기념학술세미나(강희정, 홍원표, 이현우, 최철구) 2015. 05. 21
제21회 충청중국포럼(CNI세미나2017-037) (홍원표, 이문기, 길병성, 신현우, 최선묵, 최기봉) 2017. 05.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