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리포트플러스

내용
워케이션은 일work과 휴가vacation를 결합한 개념으로 근로자가 원하는 장소에서 업무와 휴양을 병행하는 새로운 근무 형태이다 코로나19를 계기로 사회 전반에 원격근무 수용성이 확대되며 워라밸을 중시하는 사회 분위기와 함께 워케이션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고 있다 충청남도는 이러한 흐름 속에서 워케이션 충남을 주요 시책으로 추진하고 있다
국가 차원에서도 워케이션을 다양한 정책 목적에 활용 중이며 강원도와 제주는 관광과 기업유치 부산은 산업생태계 조성을 중심으로 워케이션을 확대하고 있다 충남은 공공기관 주도의 시범사업을 시작으로 민간과 지역활동가가 참여하는 구조로 확장하고 있으며 지역관광조직 청년마을 도시재생 조직 등이 다양한 형태로 워케이션 기반을 형성하고 있다
충남의 워케이션 사업은 2023년부터 본격 추진되었으며 부여 홍성 태안 등에서 인프라 조성 보령 예산 등에서는 프로그램 운영이 진행되었다 참가자 만족도가 높았으나 숙소와 오피스의 거리 특정 지역 집중 기업 참여 부족 등의 과제가 존재한다 설문조사에 따르면 워케이션이 아직은 근무보다는 복지 개념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자연환경과 교통 접근성이 좋은 장소에 대한 수요가 크다
정책 제언으로는 인프라 주체 정보 제도 4대 분야에서 단기 및 중장기 과제를 설정하였다 단기적으로는 워케이션 숙박오피스 등록제 지원조직 구성 통합 플랫폼 개발 특화 프로그램 운영 등이 제시되었고 중장기적으로는 전용단지 조성 생태계 구축 서울 사무소 운영 워케이션 근무제 도입 등이 포함되었다 충남은 이를 통해 워케이션 선도지역으로서의 기반을 강화해 나가고자 한다
국가 차원에서도 워케이션을 다양한 정책 목적에 활용 중이며 강원도와 제주는 관광과 기업유치 부산은 산업생태계 조성을 중심으로 워케이션을 확대하고 있다 충남은 공공기관 주도의 시범사업을 시작으로 민간과 지역활동가가 참여하는 구조로 확장하고 있으며 지역관광조직 청년마을 도시재생 조직 등이 다양한 형태로 워케이션 기반을 형성하고 있다
충남의 워케이션 사업은 2023년부터 본격 추진되었으며 부여 홍성 태안 등에서 인프라 조성 보령 예산 등에서는 프로그램 운영이 진행되었다 참가자 만족도가 높았으나 숙소와 오피스의 거리 특정 지역 집중 기업 참여 부족 등의 과제가 존재한다 설문조사에 따르면 워케이션이 아직은 근무보다는 복지 개념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자연환경과 교통 접근성이 좋은 장소에 대한 수요가 크다
정책 제언으로는 인프라 주체 정보 제도 4대 분야에서 단기 및 중장기 과제를 설정하였다 단기적으로는 워케이션 숙박오피스 등록제 지원조직 구성 통합 플랫폼 개발 특화 프로그램 운영 등이 제시되었고 중장기적으로는 전용단지 조성 생태계 구축 서울 사무소 운영 워케이션 근무제 도입 등이 포함되었다 충남은 이를 통해 워케이션 선도지역으로서의 기반을 강화해 나가고자 한다
목차
왜 워케이션인가
지역기반 워케이션과 새로운 가능성
충남 워케이션 현황과 정책 수요
정책 제언
참고문헌
지역기반 워케이션과 새로운 가능성
충남 워케이션 현황과 정책 수요
정책 제언
참고문헌
연구자의 다른 자료
-
박춘섭
충남 사회기술혁신포럼 (김종선,박춘섭) 2016. 02. 04
한중 사회적경제 국제세미나(쉬자량,루용빈,유충식,송두범,박춘섭) 2016. 04. 20
2017 한.중 사회경제 발전 국제 심포지엄(CNI세미나2017-173)(송두범,위안뤼쥔,팡시,쉬진,정경록,쉬자량,박춘섭,한익수,타이펑픙,이홍택,우뤼,위주청,홍원표) 2017. 12. 05
사회적경제 일자리전문가 간담회 2016. 07. 12
2016 사회적경제 아카데미 평가 컨퍼런스 2016. 12. 27
열린충남 82호 (2018년봄호) 2018. 03. 12
-
목소리
연구원저서-정의로운 전환을 위한 스무가지 목소리 2021. 04. 23
정부 간 관계 재정립에 따른 충남의 자치분권 전략과 과제 2022. 03. 01
우리술현장 연구회 2024. 02. 26
2차 사회적경제 포럼(CNI세미나2019-061) 2019. 07. 19
충청남도 주거복지센터 운영방향 연구 2022. 03. 01
(CNI세미나 2024-94)2024년 충남연구원 로컬크리에이션 연구회 2차 현지탐방&세미나 2024. 11. 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