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행물

내용
충청남도는 수소에너지 융복합 산업벨트 조성을 위한 해외 협력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2024년 8월 호주 시드니와 애들레이드를 방문하였다 주요 목적은 남호주 지역의 재생에너지 및 수소산업 생태계를 조사하고 UNSW UTS 등 주요 대학 및 관련 정부기관과 협력 방안을 논의하는 것이었다
UNSW에서는 태양광 풍력 수소에너지 등 재생에너지 관련 기술개발 현황과 호주 정부의 정책적 지원을 확인하였고 그린수소 기술을 중심으로 충남도와의 공동연구 가능성이 제시되었다 UTS는 도시형 에너지 솔루션과 파일럿 프로젝트 중심의 실증연구 사례를 공유하며 국제 공동연구 제안서를 충남도와 협의하여 연말까지 제출할 계획을 밝히기도 했다
남호주 주정부 방문에서는 재생에너지 및 산업혁신 정책 탈석탄 에너지 전환 사례 등을 중심으로 논의가 진행되었다 남호주는 석탄화력발전소의 폐쇄 이후 지역 재생사업과 산업전환 지원을 추진하였으며 충남과 유사한 환경 하에 협력 확대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그린수소 암모니아 철강 시멘트 등 산업 분야에서의 공동 프로젝트 수행도 논의되었다
이번 방문을 통해 충남도는 수소재생에너지 관련 기술 정책 산업 동향을 폭넓게 파악하였으며 수소 및 암모니아의 수입 가능성과 함께 기술협력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였다 도내 관련 기관과의 지속적 협의를 통해 공동연구와 국제포럼 등 구체적인 실행 방안도 검토될 예정이다
UNSW에서는 태양광 풍력 수소에너지 등 재생에너지 관련 기술개발 현황과 호주 정부의 정책적 지원을 확인하였고 그린수소 기술을 중심으로 충남도와의 공동연구 가능성이 제시되었다 UTS는 도시형 에너지 솔루션과 파일럿 프로젝트 중심의 실증연구 사례를 공유하며 국제 공동연구 제안서를 충남도와 협의하여 연말까지 제출할 계획을 밝히기도 했다
남호주 주정부 방문에서는 재생에너지 및 산업혁신 정책 탈석탄 에너지 전환 사례 등을 중심으로 논의가 진행되었다 남호주는 석탄화력발전소의 폐쇄 이후 지역 재생사업과 산업전환 지원을 추진하였으며 충남과 유사한 환경 하에 협력 확대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그린수소 암모니아 철강 시멘트 등 산업 분야에서의 공동 프로젝트 수행도 논의되었다
이번 방문을 통해 충남도는 수소재생에너지 관련 기술 정책 산업 동향을 폭넓게 파악하였으며 수소 및 암모니아의 수입 가능성과 함께 기술협력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였다 도내 관련 기관과의 지속적 협의를 통해 공동연구와 국제포럼 등 구체적인 실행 방안도 검토될 예정이다
목차
1 출장개요
2 출장내용
UNSWUniversity of New South Wales 호주재생에너지처 연구소
SA남호주 주정부Sam Craft Hydrogen Power SA 사무소
UTSUniversity of Technology Sydney 클린에너지기술 연구센터
3 과제연구 반영 및 시사점
시사점
벤치마킹 성과
2 출장내용
UNSWUniversity of New South Wales 호주재생에너지처 연구소
SA남호주 주정부Sam Craft Hydrogen Power SA 사무소
UTSUniversity of Technology Sydney 클린에너지기술 연구센터
3 과제연구 반영 및 시사점
시사점
벤치마킹 성과
연구자의 다른 자료
-
윤도윤
(해외출장보고서)공무국외 결과보고_연구개발지원단 육성지원사업 2023. 09. 17
연지단_➅지역과학기술혁신포럼 등 네트워킹 2023. 01. 01
2023년 충남연구원 연구성과발표회(CNI세미나 2023-084) 2023. 12. 14
제1차 충청남도 여성과학기술인 육성 및 지원계획 수립 연구 2023. 09. 01
-
최창규
(연구지원사업)2013년도 '열린 연구, 행복한 충남' 연구지원 사업 보고서 - 충청남도 7개시 대상 도시 인프라 녹색지표 분석 2013. 09. 01
제1차 충청남도 여성과학기술인 육성 및 지원계획 수립 연구 2023. 09. 01
(해외출장보고서)공무국외출장 결과보고서:AI·메타버스 기반 도로생활 안전 관리체계 강화 사업 2024. 05. 21
2023년 충남연구원 연구성과발표회(CNI세미나 2023-084) 2023. 12. 14
(CNI세미나 2024-104) 충남연구원 2024 연구성과발표회 2024. 12.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