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간행물>충남리포트플러스

충남리포트플러스

충남리포트-(제397호) 충청남도 소상공인 디지털전환 추진방안
출판/충남리포트

충남리포트-(제397호) 충청남도 소상공인 디지털전환 추진방안

기간
2024. 09. 05 ~ 2024. 09. 05
키워드
소상공인,디지털전환,충남,플랫폼,고객관리,스마트기술,정책지원,마케팅
다운로드

충남리포트플러스 397호_이민정.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충청남도 소상공인의 디지털전환은 매장 운영과 고객 대응 전반에 디지털 기술을 도입함으로써 매출 증대와 경쟁력 강화를 도모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디지털전환은 재료 구입 생산 배송 회계 노무 고객관리 마케팅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적용되며 예로는 키오스크 서빙로봇 통화비서 세무노무 앱 예약관리 및 라이브커머스 등이 있다
충남 소상공인의 디지털전환율은 평균 242로 업체당 평균 27개의 디지털 기기를 도입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도입된 기술은 스마트오더 방문예약 포인트 적립 등의 비중이 높았으며 향후 도입 희망 기술로는 스마트 사이니지 라이브커머스 전자상거래 시스템 등이 꼽혔다 도입 예정이 없는 기술로는 ARVR 기반 스마트미러 3D 프린팅 서빙로봇 등이 있다
소상공인의 디지털전환 수준은 미흡 인식보유 역량보유의 3단계로 분류된다 전체 소상공인의 약 20는 전환 인식이 낮고 75는 기기 보유는 있으나 활용도가 낮으며 5는 자발적 전환 역량을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단계별 맞춤형 지원사업이 필요하며 특히 시급성과 필요성이 모두 높은 스마트 디스플레이 회계세무 프로그램 고객관리 시스템에 대한 우선 지원이 강조되었다
정책 제언으로는 디지털전환 논의 커뮤니티 조성 민간플랫폼 협업 찾아가는 지원 지역 연결 강화 충남형 프랜차이즈 육성 등이 제시되었다 동시에 디지털기기 활용의 어려움 높은 수수료 소비자 갑질 범죄 위험성 등의 우려를 해소하기 위한 바우처 지원 장비 임대 마케팅 교육 불공정 플랫폼 개선 등도 함께 검토되어야 한다
지자체는 연결이라는 핵심 키워드를 중심으로 디지털 커머스 생태계에서 소상공인의 대변자 안내자 협상자 역할을 수행하고 융복합적인 맞춤형 지원체계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목차

제1장 소상공인 디지털전환이란
제2장 주요 사례
제3장 충남 소상공인 디지털전환 현황 및 추진방향
제4장 정책 제언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