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간행물>열린충남

열린충남

2024년 열린충남 겨울호
출판/열린충남

2024년 열린충남 겨울호

기간
2024. 12. 04 ~ 2024. 12. 31
연구자
정봉희,김선영,박춘섭,김용현,김진영
키워드
청년정책,고립청년,충청남도,창업지원,비점오염원,문화지원,중앙정부,전달체계
다운로드

열린충남_107호 최종.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충청남도는 청년을 단순한 미래 세대가 아닌 현재의 핵심 주체로 인식하며 청년들이 지역에 정착하고 자립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정책을 추진 중이다 이를 위해 일자리 주거 복지 문화 등 총 123개 과제를 포함한 청년정책 기본계획을 수립하였고 특히 청년 친화적인 도시 조성과 안서동 보행환경 개선 문화예술활동 지원 등을 통해 생활 환경과 자율성을 높이고자 한다
청년 창업과 일자리는 핵심 정책 영역으로 인턴 사업 특화기업 연계 창업교육과 공간 지원 등이 포함되며 반도체디스플레이 등 첨단 산업과 연계한 창업 기회 제공도 포함되어 있다 이외에도 주거 안정 대책으로 도시리브투게더 사업과 임차보증금 이자지원 확대 고립은둔 청년에 대한 맞춤형 상담과 복귀 지원도 계획되고 있다
중앙정부는 2020년 청년기본법 제정 이후 35개 부처에서 총 356개 과제를 시행하며 약 27조 원의 예산을 투입 중이다 정책 추진체계는 국무조정실 산하 청년정책조정실과 부처별 청년정책부서를 중심으로 구성되며 전달체계와 중간지원조직은 미흡한 상황이다 부처 간 독립적인 운영과 통합 플랫폼 부족이 문제로 지적되며 참여기구 확대와 중앙지자체 간 역할 분담이 과제로 제시된다
은둔청년 문제는 전국 청년의 약 5에 해당하며 충남도 실태조사에서 주요 원인으로 취업 어려움이 꼽혔다 이에 따라 충남은 2023년 사회적 고립청년 지원에 관한 조례를 제정하고 부서 간 연계 협력 및 지역 네트워크 구축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핀란드의 오흐야모 일본의 서포트 스테이션 등 해외 사례에서는 원스톱 서비스와 부처 간 협업을 통해 청년 고립 문제에 대응하고 있다
청년 당사자의 실제 경험담을 통해 정책이 단순한 제도적 지원을 넘어 창업 문화 활동 자아 실현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정산 절차의 복잡성 정보 접근성 부족 폐업 후 지원의 미비 등 현실적인 문제들이 드러나며 정책이 실패를 감싸안는 구조로서 작동해야 한다는 청년의 시각이 함께 제시된다

목차

권두언
충남의 미래를 여는 청년정책
특집
중앙정부 청년정책의 추진현황과 과제
충청남도 고립은둔 청년 발굴과 지원을 위한 대안은 무엇인가
충청남도 청년정책과 오늘의 나
현안
중권역 목표기준 달성을 위한 당진천 유역 비점오염원 관리방안
기초지자체 복지재단 설립에 관한 연구
충남 해상풍력발전단지를 활용한 수산자원의 효율적 관리 방안
열린마당
쓰레기일회용품 없는 지역 축제 제안 활동
언론이 바라본 충남
충남 방문의 해는 도약을 위한 도움닫기일뿐
로컬이 답이다
공학도에서 청년 농부가 되다 스마트팜으로 부농의 꿈을 실현하는 영웅딸기
연구원 소식
충남연구원 축산분야 온실가스 감축 방안 모색
충남연구원 2025년도 연구 아젠더 잡았다
충남대전 효율적 행정통합 추진 논의

연구자의 다른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