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성성호수공원의 경관생태적 특성화 방안
현안

성성호수공원의 경관생태적 특성화 방안

기간
2024. 09. 09 ~ 2024. 12. 20
연구책임자
사공정희
연구자
이관률,백승희,이지구
키워드
성성호수공원,습지경관,정비 방향,생태적 안정성,조류,초본,수목,설문 조사
다운로드

20241220_천안 성성호수공원 습지경관 정비 방향_보고서(4).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성성호수공원은 천안의 대표적인 도시공원으로 생태적 안정성과 시민 쉼터로서의 기능을 동시에 갖추고 있다 이번 연구는 남측 습지경관을 중심으로 정비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며 이를 위해 생물 조사와 방문객 대상 설문조사를 통해 공원 경관에 대한 선호도와 생물서식지로서의 가치를 분석하였다 조사 결과 대상지에는 다양한 식물종과 조류가 분포하며 특히 자연 발생 수목이 밀집된 독특한 공간으로 그늘 제공 등의 긍정적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식물상 조사에서는 총 37종의 교목 관목 초본이 확인되었고 조류 조사에서는 25종이 관찰되었으며 원앙과 같은 천연기념물도 서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시가지 내 호수공원이라는 점에서 생태적 가치가 크다고 할 수 있으며 습지 기능 유지를 위한 정비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대다수가 식생이 포함된 경관을 선호하였으며 특히 수목과 초본이 어우러진 습지경관에 대한 선호도가 높았다
정비 방향으로는 첫째 유일한 그늘 공간으로서 자연 발생 수목을 최대한 보존하고 추가로 교목을 식재하여 그늘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이는 기후변화에 따른 외부 공간의 쾌적성 확보에도 기여할 수 있다 둘째 초본에 대한 선호도를 반영해 키 큰 초본과 키 작은 초본을 균형 있게 정비함으로써 시각적 다양성과 생물서식지로서의 기능을 동시에 강화해야 한다
셋째 호수 전체를 한눈에 보기보다 공간 일부를 가려 경관의 흥미를 유발하는 방식의 정비도 제안되었다 다양한 경관은 생물종다양성 증진과 함께 방문객의 심미적 만족도를 높이는 데 효과적이며 다른 지역 사례에서도 그러한 효과가 입증되었다 따라서 성성호수공원의 특성과 기존 생태 환경을 고려한 정비는 자연성과 경관성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방향으로 진행되어야 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성성호수공원의 지속가능성과 이용자 만족도를 함께 고려한 습지경관 정비 방향을 제안하고 있으며 향후 정비 사업 추진 시 생태적 사회적 타당성을 갖춘 구체적인 계획 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목차

1 정비 대상지남측 습지경관 현황
2 선호 습지경관 설문 조사
3 습지경관 정비 방향

연구자의 다른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