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리포트플러스

내용
충청남도는 기후위기를 보건위기로 인식하며 지역 여건에 기반한 기후환경보건 정책 수립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지역별 취약성 차이로 인해 기후변화의 건강영향이 상이하며 충남은 석탄화력발전 등 기후위험 요인이 집중되어 건강 취약성이 전국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온열한랭질환 감시 자료 환경부 VESTAP 시스템 보건복지부의 영향평가 데이터를 활용한 실태분석 결과 영유아노인층의 취약성이 특히 높고 온열질환자 수가 다시 증가 추세에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에 따라 충남 특화형 건강적응 전략이 요구된다
국내외 정책 사례와 WHO 미국 영국 등의 건강적응 프레임워크를 분석해 통합적 대응체계 필요성을 도출했다 정책 통합 정보 공유 공공보건 강화 건강 형평성 확보 등이 주요 전략으로 제시되며 기후보건 전담조직 설치 사례도 참고됐다
충남형 기후환경보건정책은 총 6대 전략과 15개 정책과제로 구성된다 조례 제정 적응지표 개발 건강위험지도 제작 감염비감염질환 관리 취약계층 대상 맞춤형 서비스 확대 정보전달체계 구축 등이 포함된다
집중관리 시범사업은 천안 아산 당진 서산 예산 청양 부여 등을 대상으로 추진되며 WHO 건강도시와 연계해 정책 실효성을 높이고자 한다 주민참여 확대와 지역 중심의 공공보건 거버넌스 구축이 병행되어야 한다
결론적으로 충남의 기후환경보건정책은 건강 피해 예방뿐만 아니라 지역 회복력 증진과 지속가능한 건강관리 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전략으로 지방정부의 기후대응 역량 강화와 국가정책과의 연계를 통해 실행력을 확보해야 한다
온열한랭질환 감시 자료 환경부 VESTAP 시스템 보건복지부의 영향평가 데이터를 활용한 실태분석 결과 영유아노인층의 취약성이 특히 높고 온열질환자 수가 다시 증가 추세에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에 따라 충남 특화형 건강적응 전략이 요구된다
국내외 정책 사례와 WHO 미국 영국 등의 건강적응 프레임워크를 분석해 통합적 대응체계 필요성을 도출했다 정책 통합 정보 공유 공공보건 강화 건강 형평성 확보 등이 주요 전략으로 제시되며 기후보건 전담조직 설치 사례도 참고됐다
충남형 기후환경보건정책은 총 6대 전략과 15개 정책과제로 구성된다 조례 제정 적응지표 개발 건강위험지도 제작 감염비감염질환 관리 취약계층 대상 맞춤형 서비스 확대 정보전달체계 구축 등이 포함된다
집중관리 시범사업은 천안 아산 당진 서산 예산 청양 부여 등을 대상으로 추진되며 WHO 건강도시와 연계해 정책 실효성을 높이고자 한다 주민참여 확대와 지역 중심의 공공보건 거버넌스 구축이 병행되어야 한다
결론적으로 충남의 기후환경보건정책은 건강 피해 예방뿐만 아니라 지역 회복력 증진과 지속가능한 건강관리 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전략으로 지방정부의 기후대응 역량 강화와 국가정책과의 연계를 통해 실행력을 확보해야 한다
목차
I 서 론
1 연구 배경 및 목적
연구 배경과 필요성
연구 목적과 기대효과
2 연구 범위 및 추진체계
연구의 범위
연구의 내용 및 방법
연구의 추진체계 및 흐름도
II 이론적 고찰 및 국내외 정책 동향
1 이론적 고찰
기후변화와 건강 영향
선행연구 검토
2 국내외 정책 동향
국외 정책 동향 및 사례
국내 정책 동향 및 사례
기후변화 적응정책 초점 변화
3 소결 및 시사점
III 충남의 기후환경보건실태 분석
1 데이터를 통해 본 실태분석
환경부의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도구 시스템VESTAP
보건복지부의 기후보건영향평가
충청남도 온열질환자
충청남도 한랭질환자
2 심층 면접을 통해 본 실태분석
심층 면접 개요
심층 면접 주요 내용
3 소결 및 시사점
IV 충남의 기후환경보건 추진전략과 정책과제
1 시사점을 통해 본 추진 전략
2 추진 전략별 정책과제
추진 전략별 정책과제 도출
정책과제별 주요 내용
V 결론 및 향후과제
1 결론 및 정책제언
2 연구 한계와 향후 과제
부록
참고문헌
1 연구 배경 및 목적
연구 배경과 필요성
연구 목적과 기대효과
2 연구 범위 및 추진체계
연구의 범위
연구의 내용 및 방법
연구의 추진체계 및 흐름도
II 이론적 고찰 및 국내외 정책 동향
1 이론적 고찰
기후변화와 건강 영향
선행연구 검토
2 국내외 정책 동향
국외 정책 동향 및 사례
국내 정책 동향 및 사례
기후변화 적응정책 초점 변화
3 소결 및 시사점
III 충남의 기후환경보건실태 분석
1 데이터를 통해 본 실태분석
환경부의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도구 시스템VESTAP
보건복지부의 기후보건영향평가
충청남도 온열질환자
충청남도 한랭질환자
2 심층 면접을 통해 본 실태분석
심층 면접 개요
심층 면접 주요 내용
3 소결 및 시사점
IV 충남의 기후환경보건 추진전략과 정책과제
1 시사점을 통해 본 추진 전략
2 추진 전략별 정책과제
추진 전략별 정책과제 도출
정책과제별 주요 내용
V 결론 및 향후과제
1 결론 및 정책제언
2 연구 한계와 향후 과제
부록
참고문헌
연구자의 다른 자료
-
차정우
충청남도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 이행평가(4차년) 2020. 12. 28
충청남도 기후변화 적응대책 이행평가 연구(3차년) 2019. 10. 21
충청남도 기후변화 적응대책 이행평가 연구(2차년) 2018. 09. 11
기후변화 취약성평가방안에 관한 연구 2015. 01. 01
증거기반 융복합정책연구회 2022. 03. 08
충남 쇼핑약자 기초 추정&정책방향 2025. 02. 19
-
명형남
4개 시도 금강정책 공동연구회 워크숍(2차)(명형남,이재근,배명순) 2014. 11. 21
제1차 석탄화력발전과 미세먼지 연속세미나(명형남, 김순태) 2016. 06. 22
2015년 제1차 환경복지연구회 워크숍-충남의 라돈과 어린이 건강(하미나,이가희,명형남) 2015. 05. 11
제2차 지방주도 환경정책포럼-충남 서북부 환경취약지역 주민건강피해 예방 및 관리(김영명,명형남) 2014. 11. 05
열린충남71호 2015. 06. 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