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충청권 시·도연구원-한국재난관리학회 공동 학술대회(CNI세미나 2024-14)
연구정책조성/세미나

충청권 시·도연구원-한국재난관리학회 공동 학술대회(CNI세미나 2024-14)

기간
2024. 04. 19 ~ 2024. 04. 19
연구자
고승희,신우리,정예은,이상진
키워드
재난관리,현장대응,지방정부,풍수해,산불,물복지,범죄예방,정신질환
다운로드

충남연구원_2024년 충청권 시도연구원-한국재난관리학회 춘계공동학술대회_4차내지(3).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2024년 충청권 시도연구원과 한국재난관리학회는 재난 대응 역량 강화를 위해 현장재난관리 성과와 과제를 주제로 춘계공동학술대회를 개최하였다 본 대회는 대전세종연구원 충남연구원 충북연구원 등 충청권 연구기관과 공동으로 진행되었으며 최근 집중호우로 인한 재난 피해를 계기로 실질적인 대응책을 마련하고자 기획되었다
1분과에서는 물복지를 주제로 세종시의 정책 방향 및 물부족에 따른 손실산정 기법이 발표되었다 특히 기후변화로 인한 물위기의 심화에 대응해 지역 특성에 맞춘 정책 수립이 강조되었다 산불재난 관리에서는 민관협력 방안과 드론로봇 등 신기술의 활용 가능성이 논의되었으며 이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재난 대응 패러다임 전환을 시사하였다
현장 재난관리 분과에서는 재난대응시스템의 변천과 생활권별 취약성 분석이 이루어졌으며 특히 세종시를 사례로 지역별 맞춤형 안전정책의 필요성이 부각되었다 2분과 풍수해 대응 발표에서는 하천관리 전략과 포항 침수 사고를 바탕으로 위기 대응 체계의 한계와 개선방향이 제시되었다
정부 및 지방정부의 안전관리 분과에서는 코로나19 대응 시 정부역량의 중요성과 정보 신뢰도가 대응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고 지방정부에 대한 신뢰가 안전 인식에 미치는 관계를 연구하였다 이는 재난 시 효과적인 정보 전달과 공공 신뢰 회복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마지막으로 범죄와 지역사회 안전관리 분과에서는 정신질환자 범죄에 대한 경찰의 대응 전략과 외국인의 범죄 두려움에 관한 연구가 발표되었다 특히 정신질환자의 범죄 증가와 대응책의 한계가 지적되며 경찰의 교육 협력체계 정보 공유 시스템 구축 등이 제안되었다

목차

1회의
11분과 지방정부 물복지 구현방안
12분과 산불재난관리의 기술적 접근
13분과 현장 재난관리와 지역안전
2회의
21분과 풍수해 예방과 대응
22분과 정부역량과 지방정부 안전관리
23분과 범죄와 지역사회 안전관리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