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기타보고서

기타보고서

(CNI세미나 2024-38)충남연구원 중국연구회 3차 세미나
연구정책조성/세미나

(CNI세미나 2024-38)충남연구원 중국연구회 3차 세미나

기간
2024. 08. 14 ~ 2024. 08. 14
연구자
박경철,임다정
키워드
이화림,독립운동,조선의용대,김구,윤봉길,공산주의,여성,중국
다운로드

240814_중국연구회 3차 세미나_자료집.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240814_중국연구회 3차 세미나_자료집(2).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이화림은 충남 보령 출신으로 1919년 보령 31운동을 주도한 대표적 여성 독립운동가이다 그는 유관순과 함께 서대문형무소에서 수감생활을 했으며 조선여자기독학원에서 수학 후 만세운동에 참여하였다 일본 경찰에 체포된 이후 옥중에서도 독립 의지를 굽히지 않았고 그 후 교편 생활과 농촌계몽운동 부녀자 계몽활동 등을 펼쳤다 특히 여성의 교육과 사회활동에 헌신하며 평생을 실천한 인물이다
이화림의 삶은 독립운동뿐만 아니라 교육 농촌운동 여성운동 전반에 걸쳐 영향을 끼쳤다 결혼 이후 남편의 병환에도 불구하고 농촌운동과 여성계몽활동을 지속했고 여러 기관의 강사 및 부인회 간부로 활동하며 사회운동에 헌신하였다 해방 이후에도 여성과 사회를 위한 활동을 이어갔으며 생의 마지막까지 지역사회에 봉사하였다 그의 삶은 항일과 사회참여 교육 실천이라는 점에서 지역과 시대를 초월한 가치를 지닌다
박경현 작가는 이화림의 삶을 뮤지컬로 표현하고자 하였다 처음에는 그저 알려지지 않은 여성독립운동가를 조명하는 차원에서 접근하였으나 취재와 자료조사를 거치며 이화림의 삶이 지닌 서사적 힘과 상징성을 발견하였다 뮤지컬 창작을 통해 이화림이란 인물을 역사에서 현재로 끌어내고 그 정신을 예술로 확산시키고자 하였다 공연은 단순한 재현을 넘어 이화림의 정신을 관객에게 전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작품에서는 이화림이 견뎌야 했던 시대적 억압 여성으로서의 제약 가족의 고통이 주요 소재로 다뤄졌으며 예술적으로 이를 음악과 연기로 표현하였다 특히 유관순과의 교감 장면은 인물 간 연결을 통해 감정의 깊이를 더하고 그의 내면을 드러내는 데 중요한 장면으로 구성되었다 전체적으로 이화림을 통해 당시 여성들의 삶과 저항을 입체적으로 조명하고자 하였다
뮤지컬 제작 과정은 단순한 공연 준비를 넘어 역사적 인물에 대한 재해석이자 교육적 계기였다 지역 시민과 청소년들에게 이화림의 존재를 알리고 충남이 낳은 여성독립운동가의 가치를 공유하는 기회로 작용하였다 이화림의 삶을 무대에 올리는 것은 지역의 역사 자산을 문화 콘텐츠로 확장하는 시도이자 미래 세대와 역사적 인식을 공유하는 통로로 기능하였다

목차

中國연구회 3차 세미나 광복절 특집
1 이화림은 누구인가
2 나는 왜 이화림을 뮤지컬로 만들었는가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