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간행물

간행물

천안시 2023년도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 이행평가 용역
수탁

천안시 2023년도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 이행평가 용역

기간
2024. 01. 29 ~ 2024. 05. 29
연구책임자
최영남
연구자
이상신,이상기,고성훈,김아람
키워드
기후변화,적응대책,천안시,이행점검,탄소중립,세부사업,기상분석,성과관리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천안시는 제2차 기후변화 적응대책20192023 마지막 해인 2023년의 이행 실적을 점검하고 성과를 분석함으로써 향후 제3차 계획 수립에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본 용역을 수행함 건강 재난재해 농업 산림 물관리 생태계 대기질 등 7개 부문 55개 세부사업이 대상임
최근 10년간 천안시의 평균기온은 상승세를 보이고 있으며 2023년은 연평균기온 130 폭염일수 17일로 평년 대비 높았고 장마철 강수량은 평년보다 약 2배 많아 기후변화에 따른 이상기상이 뚜렷해졌음 특히 여름철 폭염과 국지성 집중호우로 인한 피해가 두드러짐
전체 사업의 평균 목표달성률은 859 예산집행률은 857로 전반적으로 우수 평가를 받았으며 건강부문은 목표달성률 948와 예산집행률 100로 가장 높은 성과를 기록함 반면 산림 및 생태계 부문은 목표달성률이 723로 상대적으로 낮았고 일부 사업은 미흡 등급을 받음
재난재해 부문에서는 가뭄대책 재난예경보시설 설치 등 일부 사업에서 실적이 저조하였으며 농업부문은 병해충 방제와 신작물 기술 개발 등에서 실적 격차가 컸음 생태계 부문은 생물다양성 관리와 외래종 퇴치 성과가 낮아 전략 보완이 요구됨
기상청 예측에 따르면 2024년은 폭염일수와 열대야 일수가 증가할 것으로 보이며 이에 따른 건강 농업 재난 분야의 적응대책 강화가 필요함 특히 폭염 대응 병해충 관리 도시 열섬 완화 등의 실질적 실행력이 향후 정책 핵심이 될 전망임
보고서는 기후위기 대응의 이행력 강화를 위해 성과지표 개선 주민 인식 제고 부서 간 협력체계 구축 등을 제안하며 제3차 계획 수립 시 부문별 미흡 과제의 개선과 신규 적응사업 발굴이 중요하다고 제시함

목차

Ⅰ 이행점검 개요
1 점검배경 및 목적
2 추진체계 및 방법
3 점검대상
Ⅱ 제2차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
1 비전 및 목표
2 부문별 추진전략 및 방향
Ⅲ 기후변화 현황 및 기상 특성
1 연도별 기후 및 현상일수
2 기상자료 분석 및 전망
Ⅳ 이행점검 결과
1 총평
2 세부 점검결과 종합
3 주요성과
4 적응대책 추진기반 조성 및 이행력 제고
Ⅴ 조치 및 관리계획
1 전년도 조치결과
2 미흡 및 미추진 과제 등에 대한 당해연도 조치계획
3 이행체계 구축
Ⅵ 제3차 기후위기 적응대책
1 총괄
2 차년도 과제 목록
부록
붙임증빙자료
세부사업별 이행점검결과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