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현안
부여군 생활인구정책의 유형화와 타당성 검토
- 기간
- 2025. 03. 07 ~ 2025. 06. 06
- 연구책임자
- 이관률
- 키워드
- 부여군,생활인구,정책,유형화,타당성

내용
부여군은 48개의 생활인구정책을 추진하고 있고 정주인구사업 체류인구사업 외국인사업 정주체류인구사업으로 유형화됨 부여군 생활인구정책은 정주인구사업 중심으로 추진되고 있고 정주인구사업과 외국인사업은 청년 중심 그 외 유형은 전 연령을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소프트웨어 중심으로 추진되고 있지만 상대적으로 민관협력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남
향후 부여군 생활인구정책의 개선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음
첫째 부여군은 청년 여성 외국인을 중심으로 한 생활인구정책을 추진할 필요가 있고 이와 더불어 35일 단기체류와 30일 이상의 장기 체류를 확대할 필요가 있음
둘째 기존 정주인구사업 중심에서 탈피하여 체류인구사업과 외국인사업을 보다 확대해야 할 것임
셋째 사후평가를 통해 반복되는 사업을 폐지하고 체류인구사업 외국인사업 정주체류인구사업의 목표 일치성이 제고되어야 함 넷째 아동과 청년을 중심으로 특성화된 정책을 추진해야 하고 정주인구사업에서는 돌봄복지 체류인구사업에서는 단기체류 및 교류강화가 보다 강화되어야 할 것임
다섯째 부여읍을 중심으로 생활인구정책을 추진하고 관내 단체 및 대외 기관과 협력을 강화해야 할 것임
향후 부여군 생활인구정책의 개선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음
첫째 부여군은 청년 여성 외국인을 중심으로 한 생활인구정책을 추진할 필요가 있고 이와 더불어 35일 단기체류와 30일 이상의 장기 체류를 확대할 필요가 있음
둘째 기존 정주인구사업 중심에서 탈피하여 체류인구사업과 외국인사업을 보다 확대해야 할 것임
셋째 사후평가를 통해 반복되는 사업을 폐지하고 체류인구사업 외국인사업 정주체류인구사업의 목표 일치성이 제고되어야 함 넷째 아동과 청년을 중심으로 특성화된 정책을 추진해야 하고 정주인구사업에서는 돌봄복지 체류인구사업에서는 단기체류 및 교류강화가 보다 강화되어야 할 것임
다섯째 부여읍을 중심으로 생활인구정책을 추진하고 관내 단체 및 대외 기관과 협력을 강화해야 할 것임
목차
1 연구배경 및 목적
2 생활인구의 개념과 부여군의 특징
3 생활인구정책의 목록화와 대상사업의 선정
4 부여군 생활인구정책의 유형화와 타당성 검토
5 결론 및 개선방안
2 생활인구의 개념과 부여군의 특징
3 생활인구정책의 목록화와 대상사업의 선정
4 부여군 생활인구정책의 유형화와 타당성 검토
5 결론 및 개선방안
연구자의 다른 자료
-
이관률
양봉산업 육성을 위한 한일정책세미나(카이 사토시,이관률,김종화,타무라 요시히로) 2014. 03. 11
예산군 지역순환형 농업발전전략을 위한 정책토론회(김수구,이관률) 2012. 03. 23
양봉산업육성을 위한 정책 간담회(이관률,김종화) 2014. 12. 29
농정 제도개선을 위한 국회 심포지엄 : 대한민국 농업직불금의 새로운 길(박진도,이관률, 강마야) 2015. 02. 02
금산 아토피치유마을 활성화 정책세미나_금산군 시군정책협력단(손창규,이관률) 2015. 12. 10
충남도 산림녹지분야 정책발굴을 위한 세미나(김통일,이관률,최영규) 2015. 11.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