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세미나

세미나

충청남도 예절관 건립을 위한 기초연구
기획전략(2011년전)

충청남도 예절관 건립을 위한 기초연구

기간
2000. 01. 01 ~ 2000. 12. 31
연구책임자
송두범
키워드
예절관,예절관 건립,탈물질적 가치관,학습사회
다운로드

R_0012_충청남도 예절관 건립을 위한 기초연구(송두범).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이 보고서는 충청남도 예절관 건립의 필요성과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기초연구로 전통 예의범절의 교육과 보존을 위한 체계적 공간 마련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전통 가치관의 약화와 사회 도덕성 붕괴에 대한 대응으로서 예절관 설립은 지역의 문화적 자긍심 회복과 교육적 기능 강화를 동시에 꾀하는 전략이다
탈물질적 가치관과 학습사회의 대두는 평생교육의 중요성을 부각시키며 예절관은 이러한 맥락에서 자아실현과 공동체 의식 고양을 위한 핵심 교육시설로 제시된다 충남은 충효 절의 예의 등의 정신문화 유산을 기반으로 예절 교육을 확산시킬 수 있는 사회적 기반을 갖추고 있다
예절관의 주요 기능은 연구 교육 전시 공연 등이며 지역사회 문화센터로서의 역할도 기대된다 건립은 신규 설립 기존 시설 활용 기능 부여형 등 다양한 유형이 고려되며 입지 조건으로는 접근성 역사문화 자원 지역사회 수요 등이 중요하게 다뤄진다
타 지역 사례로는 안동예절학교 전주향교 어린이 선비교실 율곡연수원 등이 분석되었고 이들 사례를 통해 충남에 적합한 모델을 구상한다 특히 향교나 폐교의 활용 가능성이 논의되었으며 기존 시설의 보완이 필요하다는 점도 지적되었다
사업 추진 전략으로는 단계별 추진계획과 민간투자 유치 제도 정비 공공민간 협력 체계 등이 제시된다 재원 조달은 공공과 민간의 역할 분담이 필요하며 충남도 교육청 중심의 추진이 가장 실현 가능성이 높은 방식으로 평가된다
최종적으로는 조례 제정 기획단 구성 지역 간 공모제 도입 등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고 예절교육 관련 네트워크와 강사풀 운영 등을 통해 지속적 교육 콘텐츠 확산과 관리 운영이 가능하도록 제안하고 있다

목차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배경
제2절 연구목적
제3절 연구범위
제2장 탈물질적 가치관과 학습사회
제1절 탈물질적 가치관
제2절 학습사회의 의의
제3절 충남의 정신문화
제4절 충남도정의 방향과 예절
제5절 충남관련 계획에서의 예의정신
제3장 예절관 건립의 의의
제1절 예절관 건립필요성 및 목적
제2절 예절관의 기능
제3절 예절관이 지역사회에 미치는 효과
제4절 예절교육기관의 운영사례 검토
제4장 충청남도 예절관 건립을 위한 기본구상
제1절 법령분석
제2절 예절관 설립유형
제3절 입지후보지의 조건
제4절 예절관 입지시 고려사항
제5절 도입가능 시설
제6절 도입가능 프로그램
제5장 사업추진 및 관리운영계획
제1절 사업추진전략
제2절 개발방식 및 토지확보방안
제3절 투자계획
제4절 재원조달계획
제5절 관리운영계획
제6장 요약 및 정책제안
제1절 요약
제2절 정책제안
참고문헌
부록

연구자의 다른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