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행물

내용
1 연구의 필요성
소하천 주변 농촌지역의 급속한 경제성장에 따른 생활하수 축산폐수 농지로부터의 화학비료 농약유출에 의하여 오염이 가중되고 있어서 물을 사용할 수 없을 정도로 수질이 악화되고 있으며 하천주변의 환경도 황폐화되는 등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어서 이에 대한 개선방안이 검토되었다 행정자치부에서는 소하천에 대한 수질관리에 성공하지 못하면 대형하천의 오염을 피할 수 없는 것으로 인식하고 종전의 치수이수위주의 소하천 정비에 환경기능을 접목한 새로운 정비방향을 마련하고 1995년부터 2016년까지 2단계에 걸쳐 총 5조 9천억원의 재원을 확보하고 소하천 시범 정비사업 종합계획 수립 등 소하천 정비사업을 활발히 추진하고 있다 충청남도의 소하천은 2001년 5월 31일 현재 2503개이며 정비는 94866km282이고 미정비는 241311km718이다 1단계로 2004년까지 사업비 159571백만원으로 42083km를 정비하고 2단계는 2005년부터 2016년까지 사업비 831115백만원으로 206339km를 실시할 예정이다
이후 생략
소하천 주변 농촌지역의 급속한 경제성장에 따른 생활하수 축산폐수 농지로부터의 화학비료 농약유출에 의하여 오염이 가중되고 있어서 물을 사용할 수 없을 정도로 수질이 악화되고 있으며 하천주변의 환경도 황폐화되는 등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어서 이에 대한 개선방안이 검토되었다 행정자치부에서는 소하천에 대한 수질관리에 성공하지 못하면 대형하천의 오염을 피할 수 없는 것으로 인식하고 종전의 치수이수위주의 소하천 정비에 환경기능을 접목한 새로운 정비방향을 마련하고 1995년부터 2016년까지 2단계에 걸쳐 총 5조 9천억원의 재원을 확보하고 소하천 시범 정비사업 종합계획 수립 등 소하천 정비사업을 활발히 추진하고 있다 충청남도의 소하천은 2001년 5월 31일 현재 2503개이며 정비는 94866km282이고 미정비는 241311km718이다 1단계로 2004년까지 사업비 159571백만원으로 42083km를 정비하고 2단계는 2005년부터 2016년까지 사업비 831115백만원으로 206339km를 실시할 예정이다
이후 생략
목차
1 연구의 필요성
2 소하천의 특성
3 소하천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
4 생태계
5 소하천의 관리방안
6 결론
2 소하천의 특성
3 소하천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
4 생태계
5 소하천의 관리방안
6 결론
연구자의 다른 자료
-
임상돈
열린충남21호 2002. 12. 01
농촌마을 주거지 주택의 친환경적 정비방안 2002. 01. 01
소하천 관리를 위한 기초연구 -부여군 오수천을 중심으로 2001. 01. 01
충남2010 정책비전 2001. 01. 01
충남도 그랜드비전 실천전략 연구 2020. 12.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