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세미나

세미나

충청남도 매장문화재의 효율적 보존관리 방안
기획전략(2011년전)

충청남도 매장문화재의 효율적 보존관리 방안

기간
2002. 01. 01 ~ 2002. 12. 31
연구책임자
이훈
키워드
충청남도,매장문화재,보존관리
다운로드

2002-09 충청남도 매장문화재의 효율적 보존관리 방안(이훈)_2002.12월.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이 보고서는 충청남도 내 매장문화재의 효율적인 보존관리 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연구이다 매장문화재는 지하에 묻혀 있어 발견이 어렵고 국토개발 과정에서 훼손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보존의 시급성이 강조된다 보고서는 문화재를 단순한 역사 유산이 아니라 교육자료이자 지역정체성의 핵심으로 간주하며 지정문화재뿐만 아니라 비지정 매장문화재의 체계적 관리 필요성을 제기한다
연구는 충남도 내 문화유적분포지도 시굴발굴조사 결과 문화재청 정책 자료 등을 바탕으로 매장문화재의 분포와 관리 실태를 분석하였다 충남에는 약 3000건 이상의 매장문화재가 존재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구석기부터 조선시대에 이르는 다양한 시대의 유적이 골고루 분포하고 있다 특히 조선시대와 청동기 시대 유적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며 시대 미상 유적도 26 이상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현행 보존관리 체계의 문제점으로 중앙과 지방 간 역할 분담 미비 전문 인력 부족 발굴 후 활용 미흡 문화재 관리 행정의 비효율성 등을 지적하고 있다 또한 발굴조사 전문기관에 대한 행정재정적 지원이 미흡하고 문화재 관련 정책도 중앙지침 위주의 수동적 운영에 머물고 있음을 문제로 본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개선방안으로는 문화유적분포지도를 기반으로 한 GIS 시스템 구축 발굴 전문기관의 지원 및 조사인력 양성 유물 종합보관소 및 보존처리센터 확충 통합 전산망을 통한 출토유물 관리체계 도입 등이 제안되었다 특히 개발과 보존이 대립이 아닌 공존해야 한다는 인식 전환이 필요함을 강조한다
충청남도의 정책 방향은 백제문화권 및 내포문화권 개발과 연계한 문화재 중심 개발 전략 수립 문화관광 자원화 지방자치단체 차원의 문화재 정책 자율성 강화 등으로 요약되며 이는 문화재를 단순히 보존하는 차원을 넘어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함을 뜻한다
결론적으로 보고서는 충남의 매장문화재가 지역 문화정체성과 문화산업의 기반이 되는 자산임을 밝히며 개발과 조화를 이루는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보존관리 방안의 도입을 강하게 촉구한다

목차

제1장 머리말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제2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제2장 매장문화재 보존관리현황
제1절 매장문화재 보존관리정책의 기본방향
제2절 매장문화재 조사연구 현황
제3절 매장문화재 관리행정
제4절 매장문화재 보존관리예산
제3장 매장문화재 보존관리체계의 개선방안
제1절 매장문화재 보존관리체계의 개선
제2절 매장문화재 조사연구의 활성화
제3절 매장문화재 관리행정의 체계화
제4절 매장문화재 보존관리 예산의 합리화
제4장 결론 및 정책제언
부록
참고문헌
문화재 지정 매장문화재 사업현황19822001
충남지역 매장문화재 목록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