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시군지 어떻게 서술할 것인가? (정승모,김명자,이필영,주강현)
연구정책조성/기타

시군지 어떻게 서술할 것인가? (정승모,김명자,이필영,주강현)

기간
2002. 05. 31 ~ 2002. 05. 31
연구책임자
충남연구원
키워드
시군지,서술체계,통과의례,세시풍속,민간신앙,민속연구
다운로드

시군지 어떻게 서술할 것인가.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제1주제]충남지역 통과의례의 서술체계(정승모).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제2주제]충남지역 세시풍속의 서술체계(김명자).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제3주제]충남지역 민간신앙의 서술체계(이필영).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제4주제]충남지역 생산풍습의 서술체계(주강현).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1 관혼상제례 연구 현황
전통적인 가례家禮 연구와 관련하여 민속학 또는 한국학을 하는 연구자들 간에는 이 분야를 관혼상제 또는 일생의례 평생의례 통과의례 등으로 각기 달리 표현하고 있다 관혼상제를 적절한 용어로 여기지 않는 연구자들은 이것이 관례 이전의 기자祈子나 출산出産 등의 의례를 포함하지 못한 데서 그 이유를 찾고 그 나머지 용어들을 적절하지 못한 것으로 여겨 관혼상제를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는 그것이 개인의 사후 행사인 제례를 담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후 생략

목차

[제1주제] 충남지역 통과의례의 서술체계 정승모 지역문화연구소장
1 관혼상제례 연구 현황 1
2 관혼상제례의 지역적 다양성 2
3 혼상제례 조사를 위한 질문사항의 예 9
참고문헌 12
[제2주제] 충남지역 세시풍속의 서술체계 김명자 안동대 교수
Ⅰ 머리말 17
Ⅱ 세시풍속 연구의 현황과 과제 18
Ⅲ 시군지 세시풍속의 서술체계 20
Ⅳ 조사방법과 항목 25
Ⅴ 맺음말 30
[제3주제] 충남지역 민간신앙의 서술체계 이필영 한남대 교수
1 민간신앙 연구의 현황과 과제 33
2 민간신앙 연구의 의의와 목적 36
3 대전충남 지역 민간신앙의 기초 구성과 성격 37
4 민간신앙의 조사 대상과 범위 43
5 민간신앙의 분류 체계案 44
6 조사의 관점 및 서술 방식 45
부록 마을 및 가정신앙 조사연구를 위한 설문 항목 51
[제4주제] 충남지역 생산풍습의 서술체계 주강현 우리민속문화연구소장
1 물질민속연구 현황과 과제 연구사적 소외 59
2 연구사 검토 및 서술체계 분석 60
3 구체적인 조사항목의 몇가지 사례 75
기본자료 85

연구자의 다른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