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간행물>정책지도

정책지도

철화 분청사기 도예촌 조성에 관한 연구
기획전략(2011년전)

철화 분청사기 도예촌 조성에 관한 연구

기간
2003. 01. 01 ~ 2003. 12. 31
연구책임자
박철희
키워드
철화,분청사기,도예촌
다운로드

R_0312_철화 분청사기 도예촌 조성에 관한 연구(박철희).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이 보고서는 충청남도 계룡산 지역의 전통 도자문화인 철화 분청사기를 기반으로 한 도예촌 조성 방안을 제시한 연구이다 계룡산은 이삼평의 도자기 전파와 도요지로서의 역사적 가치가 크며 철화 분청사기는 그 지역만의 독특한 도자예술 양식을 지닌 문화유산이다
연구는 먼저 국내외 도예촌 사례를 분석하고 계룡산 지역의 입지조건 도자기 생산 현황 관광자원과의 연계 가능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였다 이천과 강진 일본 아리따 등의 사례를 통해 도예촌이 단순 생산 공간이 아닌 문화관광교육 복합공간으로 발전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계룡산 철화 분청사기는 철분 함유가 많은 태토 자유분방한 철화문양 대담한 기형과 같은 특징을 지니며 이러한 요소는 서민적이며 해학적인 조형미로 평가된다 공주시 반포면 학봉리에 남아 있는 가마터는 문화재로 지정되어 있으며 도예촌 조성의 역사적 기반이 된다
도예촌 조성의 기본방향으로는 지역의 역사성과 전통성을 살리는 동시에 관광자원과 연계하여 다양한 기능을 갖춘 복합문화공간으로 개발할 필요성이 강조되었다 특히 전시판매 중심의 기능에 체험교육창작을 더해 단계적 조성과 정주기반 구축이 필요하다고 제시하였다
또한 도예촌 조성은 지역경제 활성화뿐 아니라 주민 참여형 문화관광 개발로 연계되어야 하며 계룡산 국립공원 유성온천 엑스포과학공원 등 주변 관광지와의 연계를 통해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계획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결론적으로 이 보고서는 계룡산 철화 분청사기의 역사적 가치를 현대적으로 계승하고 지역경제와 관광산업을 동시에 활성화할 수 있는 전략으로서 도예촌 조성을 제안하고 있으며 이를 위한 정책적제도적 기반 마련과 단계적 추진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목차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제3절 주요 용어 정의
제2장 국내외 도예촌 조성 현황
제1절 계룡산 철화 분청사기 특징
제2절 국내외 도예촌 조성 현황
제3절 소결
제3장 대상지 개발여건 분석
제1절 일반환경특성
제2절 역사적 배경 및 시설일반 현황
제3절 설문조사
제4절 소결
제4장 철화 분청사기 도예촌 조성 방안
제1절 기본방향
제2절 도예촌 조성 기본구상
제3절 주변자원 연계방안
제4절 사업추진 및 관리운영방안
제5장 결론 및 정책건의
제1절 결론
제2절 정책건의
참고문헌
부록 도자역사 및 철화 분청사기에 대한 고찰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