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간행물

간행물

충남역사문화연구소 제7회 워크샵 '충남지역 매장문화재 발굴조사의 성과와 과제' (한창균,이홍종,박순발)
연구정책조성/워크숍

충남역사문화연구소 제7회 워크샵 '충남지역 매장문화재 발굴조사의 성과와 과제' (한창균,이홍종,박순발)

기간
2003. 06. 13 ~ 2003. 06. 13
연구책임자
충남연구원
키워드
충남역사문화연구소,제7회,매장문화재,발굴조사
다운로드

200304.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제1주제]충남지역 구석기유적의 조사성과와 과제(한창균).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제2주제]충남지역 송국리형주거지의 조사성과와 과제(이홍종).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제3주제]충남지역 주구묘의 조사성과와 과제(박순발).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1930년대 함경북도 두만가 영ㄴ안의 강안리옛지면 동관진 유적에서 구석기 시대의 많은 동물화석과 몇 점의 석기가 발굴되었으나 이 유적의 시대적인 성격은 1950년대 말에 이르러 비로소 인정을 받기 시작하였다 선사시대의 여러 유적이 그렇듯이 한국에서 구석기유적이 제대로 조사되어 알려진 것은 해방 이후의 일이다
1963년에 조사된 굴포리 유적은 북한 학자들이 유물사관에 입각한 원시사회의 내재적인 발전단계를 체계화시키는데 중요한 역활을 하였다 그리고 이듬해에 발굴된 석장리 유적은 굴포리 유적과 더불어 남북한 지역에 구석기유적이 폭넓게 분포한다는 가능성을 열어주였다
이후 생략

목차

제1주제 충남지역 구석기유적의 조사성과와 과제
발 표 한창균한남대학교 교수
토 론 성춘택충남대학교 교수
제2주제 충남지역 송국리형주거지의 조사성과와 과제
발 표 이홍종고려대학교 교수
토 론 이영문목포대학교 교수
제3주제 충남지역 주구묘의 조사성과와 과제
발 표 박순발충남대학교 교수 충청문화재연구원장
토 론 함순섭국립중앙박물관 학예연구관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