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행물

내용
우리나라의 수질측정망은 환경부 유역환경청 보건환경연구원 수자원공사 등 다양한 기관에 의해 운영되며 측정 목적도 수질감시 상수원 보호 오염총량관리 등으로 다양하다 이러한 복잡한 운영체계는 지점 간 중복 측정과 비효율적인 자원 운용 문제를 초래하고 있다 충청남도 내에서도 유사 목적의 측정지점이 중첩되어 있어 인력과 예산 낭비가 발생하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충남 보건환경연구원이 관리 중인 수질측정망은 총 33개소로 금강수계 15개소 삽교천수계 5개소 기타 서해안수계 13개소로 분포되어 있다 이들은 환경부의 지침에 따라 연 12회 정기조사를 실시하며 항목에는 pH DO BOD COD 총질소 총인 대장균군수 등이 포함된다 일부 항목은 분기 또는 연 1회 조사가 이루어진다
하지만 현재의 측정망은 운영목적과 실제 측정항목 간 불일치 지점 위치의 대표성 부족 수질변화 반영의 어려움 등의 문제가 지적되었다 또한 측정지점 간 유량자료와의 연계 부족으로 수질과 유량의 통합적 활용이 어려운 점도 문제로 제기되었다 이에 따라 측정지점의 위치 조정 자동측정망의 확대 통합적인 데이터 관리 체계 구축이 필요하다는 개선 방향이 제시되었다
개선방안으로는 측정지점의 대표성과 중복성 검토를 통해 불필요한 지점 통합 또는 폐쇄 단위유역 경계지점 위주의 측정망 재배치 자동측정망의 전략적 확대 설치 지역 오염총량관리 지원센터 설치 등이 제안되었다 아울러 기관 간 역할 정립과 정보 공유 체계 강화 법령 개정 등을 통해 체계적인 수질관리 기반을 마련할 필요성이 강조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충청남도 수질측정망의 비효율을 개선하고 수질오염총량관리제 시행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측정망의 전반적인 구조 재편을 제안하였다 이는 향후 정책 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실효성 있는 수질보전 정책 추진을 위한 기반 마련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목차
제1장 연구의 목적 및 범위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11 연구의 필요성
112 연구의 목적
12 연구방법 및 범위
121 연구방법
122 연구범위
123 연구기간
13 선행연구조사
131 선행연구현황
132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제2장 국가수질측정망 설치현황
21 수질측정망 설치 및 운영
211 목적
212 법적근거
213 측정망 운영기본체계
214 측정망 구성
215 금강유역 수질측정망
216 충남도 보건환경연구원 측정망
217 수질기준
22 수질측정망 운영 항목 및 방법
221 측정망별 조사항목 조사시기
222 시료채취 및 현장측정
223 시료관리 및 측정방법
224 측정조사결과 기재방법
225 측정자료 관리 및 활용
226 기타사항
23 수질 자동측정망 설치현황
231 전국 및 금강수계 설치 운영 현황
232 충남지역 설치 운영 현황
233 외국사례
234 문제점 및 개선방안
제3장 수질오염총량제 관련 측정망
31 수질오염총량관리제 기본계획 개요
32 수질측정망 운영 항목 및 방법
321 수질측정망 설치 및 운영지침
322 공주시 시행계획안의 측정지점
323 논산시 시행계획안의 측정지점
324 천안시 시행계획안의 측정지점
325 계룡시 시행계획안의 측정지점
326 삽교천 수계 측정지점
33 유량측정
34 측정망 설치 목적별 비교분석
35 측정망 설치 및 운영상의 문제점
351 기존 국가 측정망과 오염총량관리 측정망의 중복성
352 측정지점의 주변 환경변화
353 수질측정 항목 및 측정주기의 부적정
354 오염총량관리 준비 수계의 측정망 설치
355 수질자동 측정망의 확대설치
제4장 측정망 개선계획 및 활용방안
41 측정망 설치지점의 개선계획
42 운영방법 및 운영주체
43 제도개선 및 활용방안
431 지역오염총량관리 지원센터 설치
432 재정계획
433 측정지점 개선계획의 추진방법 및 절차
제5장 결론 및 건의
51 결론
52 건의 및 향후 연구과제
참고문헌
연구자의 다른 자료
-
배용현
부남호 수질개선을 통한 서산B지구 안정적 농업용수 공급방안 연구 2024. 05. 01
- 이충용
-
이상진
큰빗이끼벌레 출현 대응책 마련을 위한 민관 전문가 합동 토론회(이상진,서지은) 2014. 08. 14
2015 연안 및 하구 생태복원 국제포럼(Peter Esselink, 이동영, Hongda Shi, 이상진, 우승범) 2015. 08. 20
금강 물환경 정책마련을 위한 전문가 워크숍 개최 계획 (이상진) 2012. 11. 27
국가균형발전 12주년 학술 심포지엄(홍성호,황혜란,정희윤,이상진,류종현) 2016. 01. 29
역간척(逆干拓) 용어정리 관련 워크숍 (이상진) 2013. 11. 19
연안 및 하구생태복원 추진방안 모색을 위한 워크숍(중천,김종성,권봉오,이상진) 2014. 03. 21
-
김홍수
충청남도 서해안기후환경연구소 연구진간의 업무이해도 증진을 위한 워크숍(김영일,정우혁,김장수,김홍수,최정호,조병욱,이상신,윤종주,표정기) 2016. 02. 18
청양군 2017년 수질개선사업 추진실적 평가 및 분석연구 2018. 05. 21
충청남도 서해안기후환경연구소 개소 1주년 기념행사 2016. 03. 25
(해외출장보고서)해외출장보고서-일본 동경- 2단계 수질오염총량관리제 시행을 위한 연구 용역 2010. 07. 19
열린충남63호 2013. 06. 01
열린충남66호 2014. 04. 04
-
김기윤
(CNI 세미나 2023-65) 금산전통인삼농업시스템 세계중요농업유산(GIAHS) 등재 5주년 기념 국제세미나 2023. 10. 13
농촌융복합산업 인증경영체 협의회 출범식(이은주) 2015. 12. 17
-
유병로
금강하굿둑 구조개선 모색을 위한 워크숍(정종관, 신문섭) 2015. 04. 02
허베이스피리트호 서해 유류유출 환경대책 (이인배,안소은,신철오,정종관) 2008. 03. 21
충청남도 산업단지의 오, 폐수처리실태 분석 및 관리방안 2006. 01. 01
가로림만권역 지속가능발전전략 수립 2016. 05. 19
금강수계 환경기초조사사업 4단계 기본계획 수립 2017. 06. 01
-
김훈
공군사격장 환경피해 해결을 위한 환경영향조사 사전연구 2차 워크숍(성태규,임상혁,김훈) 2016. 10. 13
한국유기농업학회 2018년 공동학술세미나(CNI세미나2018-006)(이관률,권순직,정옥식,김성환,김훈,김태연) 2018. 02. 20
열린충남68호 2014. 10. 01
열린충남68호 2014. 10. 01
서천군 장항읍 도시재생 관련 사업 발굴 및 추진방향 2014. 02.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