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경제자유구역 지정의 타당성 및 경기도와 협력방안
현안

경제자유구역 지정의 타당성 및 경기도와 협력방안

기간
2005. 01. 01 ~ 2005. 12. 31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경제자유구역지정의 타당성 및 경기도와 협력방안
Ⅰ 경제자유구역 추진배경
1 동북아 경제권의 부상
2 외국인 직접투자 현황
Ⅱ 경제자유구역의 필요성
1 경제자유구역의 기능 및 역할
2 경제자유구역의 필요성

Ⅲ 지역별 경제자유구역 관련 동향
1 인천 경제자유구역
2 부산진해 경제자유구역
3 광양 경제자유구역

Ⅳ 경기도의 현재상황
1 경기도 경제자유구역 계발계획
2 분석의 평가

Ⅴ 경제자유구역지정의 효과
1 긍정적 파급효과
1 개발효과
2 개발에 따른 재정적 부담의 완화
3 경제자유구역에 대한 부정적 대외 이미지의 개선
4 외국인 투자유치 확대
5 대정부 설득력 제고
2 확산효과
1 자동차 디스플레이 IT 등 배후지역 산업의 전략수출산업화 촉진
2 경제자유구역을 통해 충남 및 경기지역 기업의 광역혁신클러스터 구축
3 수도권지역과 비수도권 지역의 상생협력 모델구축
4 신행정수도의 대외적 관문확보
3 이용효과
1 국제관광 스포츠 휴양단지를 조성하여 서해안 관광벨트의 거점으로 육성 가능
2 국제 교육기관 의료기관의 유치를 통한 지역 주민 생활환경 향상
2 부정적 파급효과
Ⅵ 우리도의 협력 및 대응방안
1 평택당진 경제자유구역 지정신청의 기본방향
2 종합개발계획의 작성
1 평택당진 경제구역 추진을 위한 합동 종합개발 계획용역의 발주
3 평택당진 경제자유구역지정 평가항목에 대한 추진방안
1 해당구역 인근지역에 대한 부동산 가격안정대책
2 외국인의 투자유치 정주가능성
3 지역경제 지역균형발전에 대한 파급효과
4 필요한 부지확보의 용이성 개발비용
5 국제공항 국제항만 광역교통망 용수ㆍ전력 등 기반시설
6 친환경적이고 지속가능한 발전 가능성
7 지방자치단체의 지원체계 및 지원내용
8 전문인력 확보의 용이성 인력수급
9 경영환경 생활여건 등 배후도시의 서비스 수준
10 경제자유구역 개발계획의 현실성
11 경제자유구역 지정 이후 발생소지가 있는 민원에 대한 대처
3 도로 및 철도 항만 정비계획
4 재원조달 및 단계별 투자계획
5 기존 및 배후산업단지의 활용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