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간행물>열린충남

열린충남

지역통계의 현재와 미래 - 대전·충남 경제전문가 포럼 - (최종후)
연구정책조성/기타

지역통계의 현재와 미래 - 대전·충남 경제전문가 포럼 - (최종후)

기간
2005. 04. 12 ~ 2005. 04. 12
키워드
지역통계,대전,충남,지역통계,인프라강화
다운로드

200506.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국가통계는 국가운영의 하부구조Soft Infrastructure의 역활을 담당하고 있으며 국가의 현상과 발전과정을 객관적으로 보여주는 기본정보로서 국가비전의 제시 정책이 수립에 있어서 필수적인 기본 자료
정책의 기획 집행 뿐만 아니라 평가에 이르는 모든 단계에서 통계만이 객관적 판단의 근거
지역통계는 전국단위의 통계와 대칭적인 의미로 국가의 단위행정 구역별로 작성 또는 생산되는 통계
지역통계강화의 필요성
이후 생략

목차

Ⅰ 문제의 제기 3
Ⅱ 통계행정의 개관
1 통계의 종류 6
2 국가통계 및 통계조직 현황 6
Ⅲ 지역통계의 현황
1 중앙 및 지역통계 생산현황 8
2 지역통계 행정조직 현황 8
3 지역통계 행정조직별 주요기능 9
4 대전충남의 지역통계 10
Ⅳ 지역통계의 문제점
1 지역통계 조직 취약 14
2 지역통계 기능 취약 16
Ⅴ 통계 선진국의 지역통계
1 일본 京都府 18
2 미국 켄터키 주정부 20
3 호주 퀸즈랜드 주정부 21
4 캐나다 British Columbia주정부 23
5 외국의 지역통계 지표 체계 24
6 시사점 27
Ⅵ 지역통계인프라 강화를 위한 과제
Ⅶ 맺는말
Ⅷ 참고지역통계 작성현황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