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내용
충청남도는 급속한 개발과 도시 확장으로 인해 산림 생태계의 파편화와 연결성 약화 문제가 심화되고 있다 도로 관광지 개발 등으로 산림 축이 단절되고 있으며 1994년부터 2004년까지 산림 면적은 약 12 감소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위성영상을 활용하여 산림분포 현황과 변화 양상을 분석하고 생태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시군별 산림 관리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는 Landsat 위성영상을 바탕으로 1994년과 2004년의 산림 변화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토지피복 분류와 경관지수를 기반으로 산림의 면적 패치 수 연결성 집적도 등을 정량적으로 도출하고 시계열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충남의 산림은 면적은 큰 폭으로 줄지 않았으나 패치 수가 증가하고 평균 면적은 감소하는 등 파편화 현상이 가속화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산림경관의 건전성을 평가하기 위해 Fragstats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매트릭스 패치 코리더 등의 경관 요소를 정량 분석하였다 특히 금남정맥과 금북정맥을 중심으로 한 산림 축은 충남의 핵심 생태축으로 기능하고 있으나 도로 개설로 인한 단절이 심화되고 있어 연결성 확보가 시급하다 또한 시군별 분석에서는 서북부와 산업화 지역일수록 산림 구조가 불균형적이고 파편화가 심했다
국내외 사례 고찰을 통해 EECONET유럽생태네트워크 미국 미시시피 강 그린웨이 등 생태네트워크 구축 사례를 제시하고 충남에 적용 가능한 전략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들 사례는 핵심 서식지 보전 코리더 확보 완충구역 설정 지속 가능한 이용 관리 등을 통해 생태계의 건강성을 회복하는 방향으로 접근하고 있다
충남 산림관리를 위한 전략으로는 산림 축 중심의 생태네트워크 계획 수립 패치 간 연결성 회복을 위한 녹지축 확보 시군별 산림특성에 기반한 관리 차등화 지속적인 위성영상 분석 기반의 변화 모니터링 체계 구축 도시군 간 협력적 관리체계 정립 등이 제시되었다 특히 금남금북정맥 연결과 주요 생태거점 확보를 핵심으로 설정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충남 산림은 면적 자체보다는 질적 구조의 파편화와 연결성 단절이 심각한 문제로 생태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전략적 관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위성영상 기반의 정량 분석을 통해 시군별 맞춤형 산림관리방안을 제시하고 있으며 향후 생물다양성 보전과 지속가능한 산림 정책 수립의 과학적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연구는 Landsat 위성영상을 바탕으로 1994년과 2004년의 산림 변화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토지피복 분류와 경관지수를 기반으로 산림의 면적 패치 수 연결성 집적도 등을 정량적으로 도출하고 시계열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충남의 산림은 면적은 큰 폭으로 줄지 않았으나 패치 수가 증가하고 평균 면적은 감소하는 등 파편화 현상이 가속화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산림경관의 건전성을 평가하기 위해 Fragstats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매트릭스 패치 코리더 등의 경관 요소를 정량 분석하였다 특히 금남정맥과 금북정맥을 중심으로 한 산림 축은 충남의 핵심 생태축으로 기능하고 있으나 도로 개설로 인한 단절이 심화되고 있어 연결성 확보가 시급하다 또한 시군별 분석에서는 서북부와 산업화 지역일수록 산림 구조가 불균형적이고 파편화가 심했다
국내외 사례 고찰을 통해 EECONET유럽생태네트워크 미국 미시시피 강 그린웨이 등 생태네트워크 구축 사례를 제시하고 충남에 적용 가능한 전략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들 사례는 핵심 서식지 보전 코리더 확보 완충구역 설정 지속 가능한 이용 관리 등을 통해 생태계의 건강성을 회복하는 방향으로 접근하고 있다
충남 산림관리를 위한 전략으로는 산림 축 중심의 생태네트워크 계획 수립 패치 간 연결성 회복을 위한 녹지축 확보 시군별 산림특성에 기반한 관리 차등화 지속적인 위성영상 분석 기반의 변화 모니터링 체계 구축 도시군 간 협력적 관리체계 정립 등이 제시되었다 특히 금남금북정맥 연결과 주요 생태거점 확보를 핵심으로 설정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충남 산림은 면적 자체보다는 질적 구조의 파편화와 연결성 단절이 심각한 문제로 생태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전략적 관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위성영상 기반의 정량 분석을 통해 시군별 맞춤형 산림관리방안을 제시하고 있으며 향후 생물다양성 보전과 지속가능한 산림 정책 수립의 과학적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목차
발간사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제2장 국내외 사례 고찰
1 국내 사례
2 국외 사례
제3장 위성영상을 활용한 산림경관구조 분석방법
1 원격탐사 개요
2 위성영상 처리
3 경관구조 분석방법
제4장 충청남도 산림의 구조 및 변화분석
1 영상처리 및 분류
2 충청남도 토지피복분류 결과
3 충청남도 산림의 구조 및 변화 분석
제5장 생태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산림 관리방안
1 산림의 분포면적에 따른 산림생태축 관리방안
2 생태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시군별 산림관리방안
제6장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제2장 국내외 사례 고찰
1 국내 사례
2 국외 사례
제3장 위성영상을 활용한 산림경관구조 분석방법
1 원격탐사 개요
2 위성영상 처리
3 경관구조 분석방법
제4장 충청남도 산림의 구조 및 변화분석
1 영상처리 및 분류
2 충청남도 토지피복분류 결과
3 충청남도 산림의 구조 및 변화 분석
제5장 생태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산림 관리방안
1 산림의 분포면적에 따른 산림생태축 관리방안
2 생태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시군별 산림관리방안
제6장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연구자의 다른 자료
-
장갑수
열린충남42호 2008. 03. 01
한국의 중심, 강한 충남 실현을 위한 정책토론회 (김봉한,송미령,이재완,정회성,장갑수) 2006. 11. 03
열린충남36호 2006. 09. 01
열린충남37호 2006. 12. 01
충청남도 야생동식물보호구역 지정에 관한 기초연구 -조류·포유류를 중심으로 2007. 01. 01
산림기반 야생동식물보호구역 지정에 관한 기초연구 - 조류를 대상으로 2008. 01. 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