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간행물>열린충남

열린충남

충남의 지역통계제공 실태분석과 개선방안 연구
기획전략(2011년전)

충남의 지역통계제공 실태분석과 개선방안 연구

기간
2006. 01. 01 ~ 2006. 12. 31
연구책임자
강영주,백운성
연구자
윤은기
키워드
충남,지역통계,통계
다운로드

R_0612_충남의 지역통계제공 실태분석과 개선방안 연구(강영주,백운성).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지방자치 시대의 본격화와 함께 지역 단위의 정책수립 및 평가에 있어 통계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충청남도를 비롯한 다수 지자체는 지역통계 작성 및 제공체계가 미비하여 실질적인 정책 기초자료로 활용되기 어려운 실정이다 본 연구는 충남 지역통계의 작성제공 실태를 분석하고 효율적 제공체계 구축을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는 먼저 지역통계의 개념과 유형 수요 특성을 이론적으로 정리하고 통계청 및 지방자치단체의 정책 선행연구를 검토하였다 이어 충남의 통계작성 현황과 통계이용 실태에 대한 수요조사를 통해 실태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충남의 지역통계는 일부 핵심 통계에 편중되어 있으며 정기성과 시의성이 부족하고 통계 항목의 다양성과 지역 특화성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자체 자체통계 작성은 제한적이며 대부분 중앙정부 위임통계에 의존하고 있었다 지방정부 내 통계 담당조직과 인력의 전문성도 부족해 자체적 통계개발 여력이 낮았다 또한 행정자료를 통계로 활용하는 연계 체계가 미비하고 보고통계의 품질관리도 미흡한 실정이었다 반면 통계 수요는 주민 복지 산업 구조 환경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확대되고 있으며 시군 단위의 세분화된 데이터 요구가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연구는 충남 지역통계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크게 두 가지로 제시하였다 첫째 통계기능 강화를 위해 통계작성기관의 인식 개선 통계 담당조직인력의 전문성 제고 전문가 풀 운영 및 협력체계 구축이 필요하다 둘째 통계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통합정보시스템 구축 신규 수요에 대응한 통계 개발 사장통계 및 보고통계의 체계적 관리가 요구된다
특히 통계청과 협력하여 지역통계 개발지원 사업에 참여하고 시범지역으로서 맞춤형 통계지표 개발 및 통계교육 강화를 추진하는 전략이 제시되었다 또한 각 지자체의 행정자료를 통계자료화하는 체계 구축과 지방통계지원센터의 기능 확대도 중요한 과제로 언급되었다 통계정보의 수요자 중심 접근 및 통계 간 연계성 확보 역시 주요한 개선 방향으로 지적되었다
결론적으로 충남의 지역통계 제공체계를 혁신하기 위해서는 중앙지방 협력 강화와 함께 통계기반 인프라 개선 수요자 중심의 통계체계 구축 전문인력 양성 등 다면적 접근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지역통계의 질적 수준을 높이고 지역정책의 과학적 기반을 확보하기 위한 실천적 과제를 구체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목차

제1장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3 연구의 범위와 방법
제2장 지역통계에 관한 이론적 고찰
1 지역통계의 개념과 유형
2 지역통계의 수요분석
제3장 선행연구 및 통계관련 정책
1 지역통계 관련 선행연구
2 통계청의 지역통계 개발 및 지원정책
제4장 충남의 지역통계 현황 및 실태분석
1 지역통계 현황
2 충남의 지역통계 실태분석 수요조사를 중심으로
3 소결
제5장 충남의 지역통계 활성화방안
1 기본방향
2 충남의 지역통계기능 강화
3 지역통계의 활용도 제고
제6장 결론 및 정책제언
1 요약 및 결론
2 정책제언
참고문헌
부록
1 지역통계 작성현황
2 해외 지역통계 개발 지표
3 통계이용실태 및 수요조사 조사표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