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세미나

세미나

충청남도 지역농업클러스터의 추진실태와 육성방안
기획전략(2011년전)

충청남도 지역농업클러스터의 추진실태와 육성방안

기간
2006. 01. 01 ~ 2006. 12. 31
연구책임자
윤갑식
연구자
김태연
키워드
충청남도,지역농업클러스터
다운로드

R_0612_충청남도 지역농업클러스터의 추진실태와 육성방안(윤갑식).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산업클러스터가 지역산업 경쟁력 제고를 위한 주요 정책수단으로 부각되면서 농업 분야에서도 가공유통관광 등과 연계한 지역농업클러스터 개념이 등장하였다 농림부는 2005년부터 상향식 공모제를 통해 지역농업클러스터 시범사업을 시작했고 충청남도는 아산시자원순환형 친환경농업 클러스터와 서천군한산모시 클러스터 두 곳이 시범사업단으로 선정되었다 본 연구는 이 두 사례를 중심으로 충남 농업클러스터의 추진 실태를 분석하고 향후 발전 방향을 제시한다
산업클러스터는 지리적으로 집적된 기업지원기관연구기관 간의 협력 네트워크를 통해 혁신과 경쟁력을 촉진하는 시스템이다 농업클러스터는 기존 생산 위주의 농정에서 탈피하여 지역의 핵심 농산업을 중심으로 산학관 협력 기반을 구축하고 농업의 가공유통관광 자원과 연계함으로써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는 것이 핵심이다 클러스터는 발생기성장기성숙기구조전환기의 발전단계를 가지며 각 단계에 맞는 정책 전략이 요구된다
해외 성공사례로는 미국 캘리포니아의 와인클러스터 캐나다 사스카툰의 농생물산업클러스터 일본 아오모리현의 사과산업클러스터가 소개되었다 이들 사례의 공통점은 지역 고유자원을 중심으로 한 가치사슬 형성 산학연 간 네트워크 인적자원 기반 공공 지원체계의 유기적 작동이며 클러스터 내 협력과 학습 브랜드 구축 등이 경쟁력 향상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아산시 클러스터는 축산분뇨와 유기농업을 연계한 자원순환형 친환경 농업모델이며 서천군 클러스터는 전통문화자원인 한산모시를 중심으로 섬유산업 문화관광 교육 등을 결합한 모델이다 두 사업 모두 다양한 기관과 농민 기업이 참여하였으나 조직운영 체계 미흡 참여주체 간 네트워크 부족 전문인력 및 전략 부재 등의 문제점이 도출되었다
충남 지역농업클러스터 육성 방향으로는 기존 지역특산업 기반의 클러스터 고도화 산학연관 네트워크 강화 참여주체별 역할 분담 및 협력체계 구축 지속 가능한 경영모델 도입 전략적 브랜드 마케팅 강화 지자체의 중장기 로드맵 수립이 필요하다고 제안되었다 특히 클러스터 추진을 일회성 사업이 아닌 지속가능한 정책으로 정착시키기 위한 행정적 재정적 뒷받침이 중요하다
결론적으로 지역농업클러스터는 단순한 농업 생산체계 개선을 넘어 지역경제 문화 환경을 통합하는 종합 발전 전략이다 본 연구는 충남의 시범사업 사례를 통해 클러스터 정책의 현황과 과제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으며 향후 정책 설계와 추진 전략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목차

제1장 서론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2 연구범위와 방법
제2장 지역농업클러스터의 개념과 관련 정책 추진동향
1 산업클러스터의 개요
2 지역농업클러스터의 개요
3 지역농업클러스터 정책의 추진동향
4 지역농업클러스터 관련 연구의 동향과 한계
제3장 외국의 농업클러스터 성공사례와 시사점
1 캘리포니아 와인 클러스터
2 사스카툰시 농생물산업 클러스터
3 일본 아오모리현 사과산업 클러스터
제4장 충남 지역농업클러스터 시범사업의 추진실태
1 충남 지역농업클러스터 시범사업의 개요
2 시범사업의 추진실태 분석
제5장 충남 지역농업클러스터 육성방안
1 충남 지역농업클러스터 육성의 기본방향
2 충남 지역농업클러스터 육성을 위한 세부 추진과제
제6장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