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충남

내용
문화의 시대를 맞아 지역 간 문화 향유 격차 해소와 문화예술 공간의 실질적 활용이 중요한 정책 과제로 부상하고 있다 본 연구는 충청남도 내 문화예술 공간의 효율적인 운영과 창의적인 활용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천안 당진 청양 지역을 중심으로 문화 공간의 현황과 프로그램 운영 실태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기존의 하드웨어 중심 지원에서 벗어나 소프트웨어 즉 콘텐츠와 프로그램 중심의 발전 전략을 수립하는 데 있다
문화와 예술의 정의 및 공간 개념을 프랑스와 독일의 사례를 통해 분석하였다 두 나라 모두 문화와 예술을 국가 및 지역 정체성 형성의 핵심으로 인식하고 중앙과 지방의 협력 아래 복합문화공간을 운영하고 있다 프랑스는 문화의 집 청소년 문화센터 등을 통해 지역민이 자연스럽게 문화를 향유하게 하며 독일은 공간플랜을 통해 문화공간의 활용을 제도적으로 설계하고 지자체가 주도적으로 참여하는 것이 특징이다
충청남도 내에는 문화예술회관 복지센터 문화센터 등 다양한 형태의 문화공간이 존재하나 운영 실태를 보면 콘텐츠 부족 운영 인력 미비 지역사회와의 연계 부족 등으로 인해 비활성화되어 있다 천안은 대도시임에도 불구하고 지역민의 자발적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부족하며 당진과 청양은 농촌 지역 특성과 맞지 않는 획일적인 운영이 문제로 지적되었다 특히 청양은 공간은 존재하나 이용률이 극히 낮았다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첫째 각 지역의 특성과 문화자산을 반영한 맞춤형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며 둘째 운영인력의 전문성과 기획 역량을 높이기 위한 교육과 지원이 필수적이다 셋째 지역민의 참여를 유도하는 민관 협력 모델 예컨대 예술인주민 연계형 프로그램 지역축제 연계 콘텐츠 강화 등의 전략도 병행되어야 한다 이를 통해 문화공간이 단순한 시설이 아닌 지역 커뮤니티의 중심 공간으로 재정의될 수 있다
또한 프랑스와 독일 사례처럼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간의 명확한 역할 분담과 예산 확보가 필요하다 공간 구축에 집중되었던 정책 방향을 기존 공간의 재정비와 지속 가능한 운영 시스템 마련으로 전환해야 하며 문화예술 활동이 일상 속에서 자연스럽게 이뤄지는 지역 기반형 문화정책으로의 전환이 요구된다 지역 내 예술인과의 협업체계 구축도 강조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충남 내 문화예술 공간이 지역 특성을 반영한 창의적 프로그램과 주민참여 기반의 운영 시스템을 통해 활성화되어야 한다고 제언한다 향후에는 공간 중심의 지원에서 콘텐츠 중심으로 하향식 계획에서 주민참여형 운영으로 정책 방향이 전환되어야 하며 이를 통해 충청남도의 문화 정체성과 문화 거버넌스가 확립될 수 있을 것이다
문화와 예술의 정의 및 공간 개념을 프랑스와 독일의 사례를 통해 분석하였다 두 나라 모두 문화와 예술을 국가 및 지역 정체성 형성의 핵심으로 인식하고 중앙과 지방의 협력 아래 복합문화공간을 운영하고 있다 프랑스는 문화의 집 청소년 문화센터 등을 통해 지역민이 자연스럽게 문화를 향유하게 하며 독일은 공간플랜을 통해 문화공간의 활용을 제도적으로 설계하고 지자체가 주도적으로 참여하는 것이 특징이다
충청남도 내에는 문화예술회관 복지센터 문화센터 등 다양한 형태의 문화공간이 존재하나 운영 실태를 보면 콘텐츠 부족 운영 인력 미비 지역사회와의 연계 부족 등으로 인해 비활성화되어 있다 천안은 대도시임에도 불구하고 지역민의 자발적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부족하며 당진과 청양은 농촌 지역 특성과 맞지 않는 획일적인 운영이 문제로 지적되었다 특히 청양은 공간은 존재하나 이용률이 극히 낮았다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첫째 각 지역의 특성과 문화자산을 반영한 맞춤형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며 둘째 운영인력의 전문성과 기획 역량을 높이기 위한 교육과 지원이 필수적이다 셋째 지역민의 참여를 유도하는 민관 협력 모델 예컨대 예술인주민 연계형 프로그램 지역축제 연계 콘텐츠 강화 등의 전략도 병행되어야 한다 이를 통해 문화공간이 단순한 시설이 아닌 지역 커뮤니티의 중심 공간으로 재정의될 수 있다
또한 프랑스와 독일 사례처럼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간의 명확한 역할 분담과 예산 확보가 필요하다 공간 구축에 집중되었던 정책 방향을 기존 공간의 재정비와 지속 가능한 운영 시스템 마련으로 전환해야 하며 문화예술 활동이 일상 속에서 자연스럽게 이뤄지는 지역 기반형 문화정책으로의 전환이 요구된다 지역 내 예술인과의 협업체계 구축도 강조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충남 내 문화예술 공간이 지역 특성을 반영한 창의적 프로그램과 주민참여 기반의 운영 시스템을 통해 활성화되어야 한다고 제언한다 향후에는 공간 중심의 지원에서 콘텐츠 중심으로 하향식 계획에서 주민참여형 운영으로 정책 방향이 전환되어야 하며 이를 통해 충청남도의 문화 정체성과 문화 거버넌스가 확립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Ⅰ 문화와 예술 그리고 공간의 활용에 관한 연구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과 방법
Ⅱ 문화예술공간참여 개념 프랑스와 독일을 중심으로
1 문화란
2 예술이란
3 공간이란
4 참여란
5 유럽의 문화예술정책 현황
Ⅲ 문화공간의 효율적 활용 방안
1 충청남도내 문화공간의 운영에 있어서의 문제점
2 충청남도내 문화예술 공간의 효율적 활용 방안
3 지역 문화예술 발전 전략을 위한 제언
Ⅳ 결론
1 문화예술공간의 창의적 활용에 필요한 전제조건
참고문헌
부록
1 예술개념의 역사적인 변천사
2 충청남도내 문화공간의 환경 및 현황
1 전국내 문화공간의 실태
2 충청남도내 문화예술 공간의 실태
3 문화공간 및 프로그램
4 각 지역의 주요 문화 축제와 공간 활용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과 방법
Ⅱ 문화예술공간참여 개념 프랑스와 독일을 중심으로
1 문화란
2 예술이란
3 공간이란
4 참여란
5 유럽의 문화예술정책 현황
Ⅲ 문화공간의 효율적 활용 방안
1 충청남도내 문화공간의 운영에 있어서의 문제점
2 충청남도내 문화예술 공간의 효율적 활용 방안
3 지역 문화예술 발전 전략을 위한 제언
Ⅳ 결론
1 문화예술공간의 창의적 활용에 필요한 전제조건
참고문헌
부록
1 예술개념의 역사적인 변천사
2 충청남도내 문화공간의 환경 및 현황
1 전국내 문화공간의 실태
2 충청남도내 문화예술 공간의 실태
3 문화공간 및 프로그램
4 각 지역의 주요 문화 축제와 공간 활용
연구자의 다른 자료
-
오윤균,김승호
연구원저서-비매품 연구원저서 - 충남연구원 20년사 2015. 06. 15
-
권영현
열린충남48호 2009. 10. 01
열린충남59호 2012. 06. 01
전통시장 활성화 정책 변화와 충남의 대응전략(김영기, 임준홍) 2010. 02. 09
전통시장연구회 세미나 (노화봉,임준홍,임형빈,권영현) 2011. 08. 31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한 새로운 방향 모색 토론회 (맹부영,진영효,허남혁,임형빈,이상준,이민정,김승일,송두범,김민숙,신동호,강석주,윤정미,김명수,권영현,박희석,이관률,최권성) 2012. 09. 12
황새를 활용한 친환경 브랜드 디자인 개발 용역 2010. 07. 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