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지도

내용
이 보고서는 충청권충남 대전 충북 지역 간 산업연관구조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공동발전 가능성과 협력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연구이다 최근 행정중심복합도시 건설과 고속철도 개통 등으로 충청권의 전략적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지자체 간 경쟁보다는 협력 중심의 발전 모델이 요구되고 있다 하지만 충청권 내 실제 산업연계 수준에 대한 실증적 분석은 부족한 상황이다
연구는 한국은행의 2003년 지역산업연관표를 바탕으로 충청권을 충남 대전 충북으로 세분한 다지역투입산출표MRIO를 작성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지역별 생산구조와 교역구조를 분석한 결과 충남은 제조업 중심 대전은 연구개발 및 서비스업 중심 충북은 전자정밀기기 중심으로 산업 구조가 상이하며 이에 따라 상호 보완적인 연계 가능성이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충청권 내 지역 간 이출입 구조 분석 결과 세 지역 간 교역이 비교적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특히 제조업과 서비스업 부문에서 상호 의존성이 높았다 산업별로는 기계 전기전자 화학 등의 제조업이 중심이 되었고 이는 지역 간 연관효과 분석에서도 확인되었다 산업 간 연관효과 분석에서는 충남이 전반적으로 가장 높은 생산유발효과와 부가가치 유발효과를 보였으며 충북은 고용유발효과에서 높은 수치를 기록하였다
다지역 투입산출모형MRIO을 통해 계산된 후방 및 전방연관계수 분석 결과 충남은 타 지역에 비해 산업 연관 효과가 크며 대전은 연구개발 및 서비스업 중심으로 중간재 수요가 적은 산업 구조를 나타냈다 반면 충북은 생산구조는 작지만 전방연관성이 높아 여타 지역의 생산을 견인할 수 있는 잠재력을 보유하고 있다
정책적 시사점으로는 첫째 충청권 세 지역의 산업구조를 고려한 협력 전략 수립이 필요하며 둘째 지역 간 산업특화와 연계 클러스터 조성이 필요하다 셋째 교통물류 인프라 개선 및 공동 RD 플랫폼 구축 넷째 공동 산업정책 및 투자유치 전략 수립 등이 제안되었다 특히 다지역 투입산출모형은 향후 지역개발사업의 경제적 효과 분석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도구로 평가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충청권 내 지역 간 협력 기반을 마련하고 실질적 공동발전을 위한 정책 수립의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향후 충청권을 넘어 국가균형발전 전략 수립에도 기여할 수 있는 분석틀을 제시하였다
연구는 한국은행의 2003년 지역산업연관표를 바탕으로 충청권을 충남 대전 충북으로 세분한 다지역투입산출표MRIO를 작성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지역별 생산구조와 교역구조를 분석한 결과 충남은 제조업 중심 대전은 연구개발 및 서비스업 중심 충북은 전자정밀기기 중심으로 산업 구조가 상이하며 이에 따라 상호 보완적인 연계 가능성이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충청권 내 지역 간 이출입 구조 분석 결과 세 지역 간 교역이 비교적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특히 제조업과 서비스업 부문에서 상호 의존성이 높았다 산업별로는 기계 전기전자 화학 등의 제조업이 중심이 되었고 이는 지역 간 연관효과 분석에서도 확인되었다 산업 간 연관효과 분석에서는 충남이 전반적으로 가장 높은 생산유발효과와 부가가치 유발효과를 보였으며 충북은 고용유발효과에서 높은 수치를 기록하였다
다지역 투입산출모형MRIO을 통해 계산된 후방 및 전방연관계수 분석 결과 충남은 타 지역에 비해 산업 연관 효과가 크며 대전은 연구개발 및 서비스업 중심으로 중간재 수요가 적은 산업 구조를 나타냈다 반면 충북은 생산구조는 작지만 전방연관성이 높아 여타 지역의 생산을 견인할 수 있는 잠재력을 보유하고 있다
정책적 시사점으로는 첫째 충청권 세 지역의 산업구조를 고려한 협력 전략 수립이 필요하며 둘째 지역 간 산업특화와 연계 클러스터 조성이 필요하다 셋째 교통물류 인프라 개선 및 공동 RD 플랫폼 구축 넷째 공동 산업정책 및 투자유치 전략 수립 등이 제안되었다 특히 다지역 투입산출모형은 향후 지역개발사업의 경제적 효과 분석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도구로 평가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충청권 내 지역 간 협력 기반을 마련하고 실질적 공동발전을 위한 정책 수립의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향후 충청권을 넘어 국가균형발전 전략 수립에도 기여할 수 있는 분석틀을 제시하였다
목차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2 연구범위와 방법
3 연구수행 체계
제2장 지역간 산업연관구조 분석이론 및 선행연구 고찰
1 지역투입산출모형의 기본구조
2 지역투입산출표 작성방법
3 선행연구 고찰
제3장 충청권 지역경제의 현황과 특성
1 충청권 지역경제 현황
2 충청권 지역경제구조 특성분석
제4장 충청권 다지역 투입산출표 작성
1 다지역 투입산출표 작성의 개요
2 지역기술계수 추정
3 지역교역계수 추정
제5장 충청권의 지역간 산업연관구조 분석
1 충청권 지역간 교역구조
2 산업간 연관효과
3 지역간 연관효과
제6장 결론
1 연구의 요약
2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과제
참고문헌
부록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2 연구범위와 방법
3 연구수행 체계
제2장 지역간 산업연관구조 분석이론 및 선행연구 고찰
1 지역투입산출모형의 기본구조
2 지역투입산출표 작성방법
3 선행연구 고찰
제3장 충청권 지역경제의 현황과 특성
1 충청권 지역경제 현황
2 충청권 지역경제구조 특성분석
제4장 충청권 다지역 투입산출표 작성
1 다지역 투입산출표 작성의 개요
2 지역기술계수 추정
3 지역교역계수 추정
제5장 충청권의 지역간 산업연관구조 분석
1 충청권 지역간 교역구조
2 산업간 연관효과
3 지역간 연관효과
제6장 결론
1 연구의 요약
2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과제
참고문헌
부록
연구자의 다른 자료
-
윤갑식
열린충남35호 2006. 06. 01
지역균형발전정책의 발전방향 모색 (송미령,윤갑식,변창흠) 2005. 10. 05
열린충남38호 2007. 03. 01
충청남도 지역농업클러스터의 추진실태와 육성방안 2006. 01. 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