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행물

내용
11 도시의 쇠퇴와 재생
그동안 우리나라는 신시가지 시도시 위주의 도시개발정책으로 구시가지나 구도심원도심이 상대적으로 침체되고 있다 물론 그 침체의 양상과 성격은 도시에 따라 다르게 나타남다 토지이용의 잠재가치는 높으면서도 물리적 공간구조나 시설물의 낙후로 그 잠재가치가 충분히 발휘되지 못하고 있는 지역이 있는가 하면 잠재적 가치마저 잃어가고 있는 절대적 쇠퇴 지역도 있다 서울과 같이 아직 도시 전체의 활력이 유지되고 있거나 커지고 있는 대도시의 구시가지가 전자에 해당한다 이런 지역은 현재의 토지이용 효율은 낮더라도 미래의 개발이익에 대한 기대치가 높기 때문에 부동산 가격은 떨어지지 않을 뿐 아니라 개발을 수립하는 경우 개발이익을 둘러싼 갈등이 크게 표출되고 이해관계 조정이 매우 어려워진다
이후 생략
그동안 우리나라는 신시가지 시도시 위주의 도시개발정책으로 구시가지나 구도심원도심이 상대적으로 침체되고 있다 물론 그 침체의 양상과 성격은 도시에 따라 다르게 나타남다 토지이용의 잠재가치는 높으면서도 물리적 공간구조나 시설물의 낙후로 그 잠재가치가 충분히 발휘되지 못하고 있는 지역이 있는가 하면 잠재적 가치마저 잃어가고 있는 절대적 쇠퇴 지역도 있다 서울과 같이 아직 도시 전체의 활력이 유지되고 있거나 커지고 있는 대도시의 구시가지가 전자에 해당한다 이런 지역은 현재의 토지이용 효율은 낮더라도 미래의 개발이익에 대한 기대치가 높기 때문에 부동산 가격은 떨어지지 않을 뿐 아니라 개발을 수립하는 경우 개발이익을 둘러싼 갈등이 크게 표출되고 이해관계 조정이 매우 어려워진다
이후 생략
목차
주제발표
[제1주제] 도시재생 기술개발의 방향과 지자체 협력과제 도시재생사업단 운영계획을 중심으로
임서환 건설교통부 도시재생사업단장
I도시재생의 의의
II도시재생의 과제
III도시재생기술개발 방향과 지자체 협력 과제
[제2주제] 일본의 중심시가지 활성화 대책 임준홍한상욱 충남발전연구원 책임연구원
I서론
II연구의 주요내용과 사례지역
III중심시가지를 둘러싼 환경변화
IV중심시가지 활성화 대책
V결론
[제1주제] 도시재생 기술개발의 방향과 지자체 협력과제 도시재생사업단 운영계획을 중심으로
임서환 건설교통부 도시재생사업단장
I도시재생의 의의
II도시재생의 과제
III도시재생기술개발 방향과 지자체 협력 과제
[제2주제] 일본의 중심시가지 활성화 대책 임준홍한상욱 충남발전연구원 책임연구원
I서론
II연구의 주요내용과 사례지역
III중심시가지를 둘러싼 환경변화
IV중심시가지 활성화 대책
V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