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지도

연구정책조성/세미나
충청권 공동발전 전략 (육동일,소진광,서정해,원광희,강영주,이재영)
- 기간
- 2007. 04. 19 ~ 2007. 04. 19
- 키워드
- 지역균형발전,충청권,지방분권,특별법,행정중심복합도시,국가경쟁력,국토계획,경제통합
- 다운로드
-
[1부-제1주제]충청권 공동발전의 기본구상 및 추진전략 (육동일).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1부-제2주제]충청권 특별법 제정 (소진광).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1부-제3주제]통합경제권 사례발표 (서정해).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2부-제1주제]청죽국제공항 활성화를 위한 추진과제 (원광희.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내용
지역개발은 계획적 사고를 기반으로 전체와 부분의 조화를 추구해야 하며 중앙정부 중심의 획일적 방식으로는 지역균형발전을 달성하기 어렵다는 문제의식이 제기되었다 지역은 스스로 문제 해결 역량을 갖춰야 하며 중앙은 보충적 역할에 그쳐야 한다
충청권은 국가 전체 경쟁력 제고를 위한 핵심지역으로 행정중심복합도시와 대전 특구 오송바이오밸리 등과의 연계를 통해 초광역 혁신체제 형성이 가능하다는 잠재력을 갖고 있다 낙후성보다는 전략적 활용 가능성이 법제화의 주된 근거로 제시되었다
충청권발전 특별법은 일방적 지원보다 중앙과 지방 간 역할 분담 공동 거버넌스 체계를 통해 혁신과 성장 기반을 조성하는 방향으로 설계되어야 한다 지역 자율성과 창의성을 보장하면서 국가경쟁력 향상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법안에는 광역복합개발계획 수립 개발지역 지정 및 사업 시행 조세 및 부담금 감면 국고보조금 우선지원 등의 조항이 포함되며 관련 인허가를 일괄적으로 의제 처리함으로써 행정절차 간소화가 도모된다
계획 수립은 시도지사 공동입안 국토정책심의위원회 심의 건설교통부 장관 지정 등의 절차로 진행되며 사업 시행자는 지자체 공기업 민간 법인 등으로 다양하게 지정될 수 있다 실행력 확보를 위한 재정제도 지원도 병행된다
결론적으로 충청권특별법은 지방분권과 지역균형발전 국가경쟁력 강화를 통합하는 새로운 지역발전 패러다임의 구현이며 단순한 지역 지원이 아니라 지역의 잠재력을 기반으로 국가 전체에 긍정적 파급효과를 창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충청권은 국가 전체 경쟁력 제고를 위한 핵심지역으로 행정중심복합도시와 대전 특구 오송바이오밸리 등과의 연계를 통해 초광역 혁신체제 형성이 가능하다는 잠재력을 갖고 있다 낙후성보다는 전략적 활용 가능성이 법제화의 주된 근거로 제시되었다
충청권발전 특별법은 일방적 지원보다 중앙과 지방 간 역할 분담 공동 거버넌스 체계를 통해 혁신과 성장 기반을 조성하는 방향으로 설계되어야 한다 지역 자율성과 창의성을 보장하면서 국가경쟁력 향상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법안에는 광역복합개발계획 수립 개발지역 지정 및 사업 시행 조세 및 부담금 감면 국고보조금 우선지원 등의 조항이 포함되며 관련 인허가를 일괄적으로 의제 처리함으로써 행정절차 간소화가 도모된다
계획 수립은 시도지사 공동입안 국토정책심의위원회 심의 건설교통부 장관 지정 등의 절차로 진행되며 사업 시행자는 지자체 공기업 민간 법인 등으로 다양하게 지정될 수 있다 실행력 확보를 위한 재정제도 지원도 병행된다
결론적으로 충청권특별법은 지방분권과 지역균형발전 국가경쟁력 강화를 통합하는 새로운 지역발전 패러다임의 구현이며 단순한 지역 지원이 아니라 지역의 잠재력을 기반으로 국가 전체에 긍정적 파급효과를 창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목차
I 충청권 공동발전 전략
II 충청권발전 특별법 제정방향
III 대구경북결제통합 기본구상과 발전계획
IV 청주국제공항 활성화를 위한 추진과제
V 충청권 종합발전 구상 안 산업경제편
II 충청권발전 특별법 제정방향
III 대구경북결제통합 기본구상과 발전계획
IV 청주국제공항 활성화를 위한 추진과제
V 충청권 종합발전 구상 안 산업경제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