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공공디자인 도입에 따른 전문가 학술 세미나 '명품충남, 공공디자인으로 만든다' (김신원,이광영,윤병문)
연구정책조성/세미나

공공디자인 도입에 따른 전문가 학술 세미나 '명품충남, 공공디자인으로 만든다' (김신원,이광영,윤병문)

기간
2007. 09. 07 ~ 2007. 09. 07
키워드
공공디자인,지방자치,도시경관,생활환경,지역특화,디자인정책,문화인프라,시민참여
다운로드

공공디자인 도입에 따른 전문가 학술 세미나 명품충남, 공공디자인으로 만든다.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제1주제]지방자치시대 공공디자인의 가치 증가와 도입의 필요성 (김신원).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제2주제]충청남도의 공공 디자인 어떻게 할 것인가 (이광영).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제3주제]공공디자인정책과 지자체의 활용방안 (윤병문).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디자인은 사적 소비뿐 아니라 공공영역에서 삶의 질과 사회성 향상에 기여해야 하며 공공디자인은 국가 정체성과 문화 인프라를 반영하는 핵심 요소로 강조된다 한국은 아직 사적 디자인과의 균형이 부족한 상태다
공공디자인의 주요 영역은 도시공간 공공시설물 공공정보 및 사인 공공용품으로 구분되며 공공성과 편의성 상징성과 통합성을 동시에 고려한다 디자인은 공공사업의 일환으로 사회문화 인프라 역할을 수행한다
공공디자인 유형은 일반적 기능 중심에서 향토적 특색 반영형으로 확장되고 있으며 해외 선진국은 복지수준과 도시 경쟁력 제고를 위한 전략으로 공공디자인을 활용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그 중요성과 수요가 커지고 있다
지자체는 지역 고유의 정체성과 문화를 활용해 특성화 전략을 추진하며 사례로는 도쿄 미드타운 요코하마 뉴욕 멜버른 런던 서울 청계천 대학로 광화문 등이 소개되었다 지역 정체성과 문화적 아이덴티티가 중심이다
문제점으로는 이동 편의성 저해 간판과 안내표시의 혼란 정부 부처 간 심볼 분산 비효율적 보행환경 등이 지적되며 체계적이고 과학적 접근을 통한 개선이 필요하다 서울시 청계천 걷고 싶은 거리 등은 성공 사례로 평가된다
디자인 행정체계 강화를 위해 지자체 전담 조직 실무협의기구 자문위원회 시민협의체 구성이 제안되었고 안양 아트시티21 김해 도시디자인과 서울시 도시디자인기획단 등의 운영 사례도 소개되며 정책 실행력 제고가 강조된다

목차

I 지방자치시대 공공디자인의 가치 증가와 도입의 필요성
II 공공디자인 정책과 지자체의 활용방안 모색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