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환경과 경제가 함께 가는 지속가능한 지역발전 정책 토론회 (이진용,강인구,임성순,채성주,원광희,이상규,박상헌,윤혁렬,이용우,남광현,이상현,오동하,김종일,정환도)
연구정책조성/기타

환경과 경제가 함께 가는 지속가능한 지역발전 정책 토론회 (이진용,강인구,임성순,채성주,원광희,이상규,박상헌,윤혁렬,이용우,남광현,이상현,오동하,김종일,정환도)

기간
2007. 10. 08 ~ 2007. 10. 08
키워드
지속가능발전,생태도시,국립생태원,해양생물자원관,장항산단,지역경제,환경교육,관광자원
다운로드

환경과 경제가 함께 가는 지속가능한 지역발전.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제1부-1]국립생태원 건립 추진방향 (이진용).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제1부-2]해양생물자원관 건립 기본계획 및 추진현황 (강인구).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제1부-3]서천의 비전과 지속가능한 발전 (임성순).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제2부-1]국가균형발전 사업과 연계한 충북의 지역발전전략 (채성주,원광희).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제2부-2]공공기관 이전적지의 활용방안 (이상규).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제2부-3]강원지역 도심환경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박상헌).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제2부-4]서울시 한강르네상스 프로젝트 (윤혁렬).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제2부-5]지속가능한 보령발전과 관광 -보령머드축제를 중심으로 (이용우).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제2부-6]수질오염총량관리와 지속가능 지역발전 -대구경북지역을 중심으로 (남광현).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제2부-7]공업용수의 수질과 비용 및 공급체계 개선 (이상현).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제2부-8]낙동강 하구지역의 환경관리방안 -비오톱지도 작성 및 장기 모니터링을 중심으로 (오동하).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제2부-9]영산강 하구역의 지속가능한 발전과제와 전략 (김종일).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제2부-10]지속가능 개발을 위한 대전시의 환경전략 (정환도).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지속가능한 지역발전을 위해 국립생태원과 해양생물자원관 건립이 서천군에 추진되었으며 이는 환경보전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동시에 이루는 상생 모델로 기획되었다 생물다양성과 기후변화 대응 생태교육 기능을 강화하는 것이 주요 목표다
국립생태원은 기후변화 생태연구 멸종위기종 보전 생태교육 전시기능을 통합한 종합기관으로 Ecodome 동식물 보전센터 곤충관 복합수련원 등 다양한 시설이 계획되었다 연간 210만 명의 관람객 유치와 지역 고용 창출도 기대된다
해양생물자원관은 해양생물 주권 확보 및 연구 전시 교육을 통합한 시설로 장항읍 일원에 1200억 원을 투입해 조성되며 해양생물 표본 확보 전문 인력 양성 교육홍보 기능도 포함된다 국립생태원과의 연계를 통해 시너지 효과를 기대한다
서천군은 두 기관을 중심으로 생태도시로의 전환을 추진하며 BT산업 클러스터 조성 관광자원과의 연계 문화복지 인프라 확충 등 종합적 지역발전 전략을 수립하고 있다 주민참여와 상향적 계획 수립도 강조된다
국립생태원과 해양생물자원관을 연계한 관광 콘텐츠와 산업단지를 통합 운영하고 산업 클러스터와 교육연구기능 연계를 통해 서천군의 자립적 지역경제 기반을 구축하려는 전략이 제시되었다
생태경관 보전 난개발 방지 전원주택단지 관리 주민공동체 형성과 문화복지 향상까지 포함하는 통합적 추진 전략이 마련되었으며 서천은 지속가능하고 경쟁력 있는 생태도시로의 발전을 도모하고 있다

목차

제1부 지속가능한 대안개발 서천의 Plan
1 국립생태원 건립 추진방향
2 해양생물자원관 건립기본계획 및 추진현황
3 서천의 비전과 지속가능한 발전
제2부 지속가능한 지역발전 사례와 경험
1 국가균형발전 사업과 연계한 충북의 지역발전전략
2 공공기관 이전적지의 활용방안
3 강원지역 도심환경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4 서울시 한강르네상스 프로젝트
5 지속가능한 보령발전과 관광 보령머드축제를 중심으로
6 수질오염총량관리와 지속가능 지역발전 대구경북지역을 중심으로
7 공업용수의 수질과 비용 및 공급체계 개선
8 낙동강 하구지역의 환경관리방안 비오톱지도 작성 및 장기 모니터링을 중심으로
9 영산강 하구역의 지속가능한 발전과제와 전략
10 지속가능 개발을 위한 대전시의 환경전략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