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리포트플러스

내용
1 배경 및 목적
대한민국의 새로운 중심 강한 충남도정의 능동적 대응
21세기 초반 새로운 환경변화 패러다임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충청남도가 국가균형발전의 선도지역으로서 지방분권과 지역혁신발전과 병행하여 건강한 자연환경보전 방향설정과 기본전략을 마련하고자 함
국가환경종합계획과 연계
2005년 11월에 확정공표된 국가환경종합계획20062015과 연계하여 환경정책기본법 제14조의3 규정에 명시된 道의 의무지방환경보전 계획 수립를 이행하고 지속가능한 발전을 추구하기 위해 건강한 자연환경 조성의 중장기 기본계획을 마련하고자 함
민선 4기의 도정 기본이념 수용
민선 4기의 도정목표인균형 있는 지역발전 함께 하는 복지사회 활력 있는 농어촌 역동적인 산업경제 건강한 자연환경을 실천할 수 있는 환경보전 전략계획의 제시가 요구됨
이후 생략
대한민국의 새로운 중심 강한 충남도정의 능동적 대응
21세기 초반 새로운 환경변화 패러다임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충청남도가 국가균형발전의 선도지역으로서 지방분권과 지역혁신발전과 병행하여 건강한 자연환경보전 방향설정과 기본전략을 마련하고자 함
국가환경종합계획과 연계
2005년 11월에 확정공표된 국가환경종합계획20062015과 연계하여 환경정책기본법 제14조의3 규정에 명시된 道의 의무지방환경보전 계획 수립를 이행하고 지속가능한 발전을 추구하기 위해 건강한 자연환경 조성의 중장기 기본계획을 마련하고자 함
민선 4기의 도정 기본이념 수용
민선 4기의 도정목표인균형 있는 지역발전 함께 하는 복지사회 활력 있는 농어촌 역동적인 산업경제 건강한 자연환경을 실천할 수 있는 환경보전 전략계획의 제시가 요구됨
이후 생략
목차
충청남도 환경보전 종합계획 수립 연구방향
제1장 계획의 개요
제2장 일반현황
제3장 자연환경
제4장 생활환경
제5장 자연자원
제6장 환경과 경제사회의 통합
제7장 지역 및 지구환경
제1장 계획의 개요
제2장 일반현황
제3장 자연환경
제4장 생활환경
제5장 자연자원
제6장 환경과 경제사회의 통합
제7장 지역 및 지구환경
연구자의 다른 자료
-
정종관
해양환경안전포럼(CNI세미나2017-109)(황운기,이규성,임운혁,이봉길,김도선,정종관) 2017. 09. 15
제5차 충남환경포럼 '전략환경평가의 방향과 과제' (정종관) 2006. 10. 11
허베이스피리트호 서해 유류유출 환경대책 (이인배,안소은,신철오,정종관) 2008. 03. 21
논산시 슬러지 처리시설 설치방안 (정종관,이상진,오혜정) 2007. 04. 24
금강하굿둑 개선방안 모색을 위한 워크숍(정종관) 2014. 02. 05
금강수계 하천,하구 부유쓰레기의 효율적인 처리방안 (정종관) 2008. 09. 19
-
김효주
예산군의 효행과 우애(지역정체성 확립과 자원활용방안 모색을 중심으로) 2002. 10. 16
「충남 근린자치 실태분석 및 활성화 방안」 제4차 워크숍 및 비상임연구위원 공동참여연구 발표·토론회 (김필두,홍정순,김성호,김찬배,길병옥,이상선,이준건) 2012. 08. 02
충남 지역순환 농식품체계와 로컬푸드 연구회 제11회 워크숍 (배대순,박미진,황민호) 2012. 07. 20
제6차 충남 사회적경제 콜로키움 '사회적경제와 귀농·귀촌' (차광주,이상구,이기왕,조남준,유학열,이수행) 2012. 07. 06
충청남도 근린자치 실태분석 및 활성화방안 제3차 워크숍 (하승수, 곽현근) 2012. 06. 18
제5차 충남 사회적경제 콜로키움 '사회적경제에 있어서 자활영역의 역할과 과제' (김정원,노병갑,박찬무,김학실) 2012. 06. 13
- 정봉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