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기타보고서

기타보고서

유류오염 실태조사 및 환경생태 복원방안 연구 -허베이 스피리트호 유류유출 사고 사례
기획전략(2011년전)

유류오염 실태조사 및 환경생태 복원방안 연구 -허베이 스피리트호 유류유출 사고 사례

기간
2008. 01. 01 ~ 2008. 12. 31
연구책임자
정종관
연구자
황경엽,김종렬,성기준
키워드
유류오염,헤베이 스피리트호,유류유출
다운로드

R_0812_유류오염 실태조사 및 환경생태 복원방안 연구(정종관).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허베이 스피리트호 유류유출 사고는 대한민국 역사상 최대 규모의 해양환경 재앙으로 사고 이후 수많은 생물의 폐사와 해양 생태계 파괴 주민 생계 피해 등 다차원적 문제를 야기하였다 이에 따라 유류오염 실태조사와 과학적 기반의 생태복원 방안을 마련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연구는 사고 대응의 한계점을 짚고 유류오염 폐기물의 물리화학적 특성 분석부터 방제 종료점 설정 생태 복원방안까지의 통합적 접근을 통해 복원 정책의 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특히 지역 단위 복원을 위한 중앙과 지방 주민 간 합의 기반의 협력 시스템 마련을 중시하였다
생태 복원은 1단계로 오염물질 제거 2단계로 생태계 회복을 위한 모니터링과 적응적 관리체계로 구분된다 이를 위해 유류 오염의 확산 특성과 저서생물 변화 유류 잔존상태의 분석을 수행하고 생물학적 정화기법예 미생물 주입 비료투입 산소공급 등의 효과성을 검토하였다
또한 펄갯벌 염습지 암반 지역 등 다양한 지형별 복원 특성을 반영한 방제 및 복원 전략이 제시되었으며 자연공기 유입장치와 같은 생태친화적 기술의 도입도 논의되었다 유류오염에 의한 장기적 생태 영향은 모니터링 체계를 통해 지속적으로 추적해야 하며 평가기준과 대조 생태계reference ecosystem 설정의 중요성도 강조되었다
정책적으로는 방제 종료 기준 정립 폐기물 현지 처리 체계 마련 주민참여형 복원 모형 개발 복원 목표 달성을 위한 단계별 로드맵 수립 등이 필요하다는 점이 제시되었다 나아가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의견을 반영하는 협치governance 기반의 대응 전략 수립도 중요 과제로 꼽혔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단기적 오염 제거에 그치지 않고 서해안 생태계의 장기적 회복과 지속가능한 환경관리를 위한 실천적 대안을 제시하며 향후 유사 환경재난 대응의 모델을 제시하는 데 의미가 있다

목차

제1장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제2장 유류오염 사례와 선행 연구
1 시프린스호
2 토리캐년호
3 아모코카디즈호
4 엑슨발데즈호
5 걸프전쟁
6 시엠프레스호
7 나훗카호
제3장 유류오염 실태조사
1 서해안지역 유류오염 피해상황
2 연안생태계 저서생물상 변화 비교
3 유류오염 폐기물처리
제4장 유류오염지역 방제관리 방안
1 유류유출 방제 종료점 설정
2 유류유출 방제 종료점 적용
3 갯벌 방제 방법고찰
제5장 생태영향 모니터링 및 복원관리 방안
1 생태영향 모니터링 방법
2 유출유의 확산과 생태영향
3 유처리제 살포에 따른 해양생태 영향
4 해양오염영향 조사와 복원계획
5 오염해역 환경생태 복원 방안
6 주민참여와 복원평가
제6장 결론 및 정책 제언
참고문헌
부록 1 유류오염 환경피해 산정 조사방법
부록 2 어패류의 탈독성화 효소지표EROD
부록 3 해안선유류정화평가SCAT 조사결과 사례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