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간행물

간행물

신도내 건도사업 의의 및 활용방향모색을 위한 워크숍 (윤용혁,정종수,이종수)
연구정책조성/워크숍

신도내 건도사업 의의 및 활용방향모색을 위한 워크숍 (윤용혁,정종수,이종수)

기간
2008. 05. 29 ~ 2008. 05. 29
키워드
신도안,건도사업,계룡산,신도내,워크숍
다운로드

신도내 건도사업 의의 및 활용방향모색을 위한 워크숍.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제1주제]신도안 건도사업에 대한 역사적 검토 (윤용혁).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제2주제]계룡산 신도내의 풍수지리적 특징 (정종수).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제3주제]신도내 역사문화자원의 활용방안 (이종수).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1392년 조선 건국과 함께 중점 추진 사업의 하나였던 신도 건도 문제는 태조 3년1394 한양으로의 천도에 의하여 일단 확정을 보았다 그러나 정종대의 불안한 정치 상황에서 왕실 조정이 개경에 돌아옴으로써 한동안 한양 定都는 난관에 봉착한 듯하였지만 1405년태종 5 개성으로부터의 재천도가 이루어졌다 조선의 건국과 더불어 이루어진 한양에의 천도가 오늘날 대한민국의 수도로서의 서울의 역사성과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그런데 조선 건국에 의한 한양 천도가 확정되기 전 단계에서 한때 계룡산 기슭의 신도안현재의 계룡시 지역이 신왕조의 천도지로 지정되어 일시 기초적 단계의 공사가 진행되기까지 하였다는 것은 잘 알려진 바와 같다 이 신도안 천도계획은 조선 건국 직후인 태조 2년1393의 일이다 상세한 기록은 아니지만 태조 이성계가 직접 현지를 답사하였고 당시에 조성된 건축재석재의 일부가 아직까지 남겨져 있다 또한 신도안은 풍수도참과 관련한 많은 화제와 관심을 오랫동안 생산하였다 계룡산의 역사에 대한 전반적 개황은 윤용혁 계룡산의 문화사적 성격공주 역사문화론집서경문화사 2005 신도안의 풍수도참적 성격과 내용에 대해서는 정종수계룡산의 도참 풍수지리적 고찰계룡산지충청남도 1994 참고
이후 생략

목차

[제1주제]신도안 건도사업에 대한 역사적 검토 윤용혁 교수 공주대학교
1 머리말
2 신도안 천도론의 역사적 배경
3 신도안 건도 사업의 추진과정
4 신도안 천도론의 정치적 성격
5 한말의 천도론과 신도안
6 맺는말
[제2주제]계룡산 신도내의 풍수지리적 특징 정종수 과장 국립민속박물관
1 계룡산의 명칭과 신도내
2 계룡산의 풍수지리적 특징
3 계룡산 신도내와 풍수지리적 특징
4 태조 이성계의 계룡산 신도 건설
5 나오는 말
[제3주제]신도내 역사문화자원의 활용방안 이종수 책임연구원 충남역사문화원
1 머리말
2 계룡의 자연역사 환경
3 신도내 유적 현황
4 활용방안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