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내용
1910년대 지형도 기준 해안선은 약 8116km였으나 간척사업 등 인위적 요인으로 인해 2000년대에는 3739km로 줄어들었고 이에 따라 육지 면적은 3499에서 5207로 증가하였다 위성영상 분석에 따르면 간척지의 토지이용은 갯벌 습지 양식장염전 논 나대지 순으로 변화했으며 이는 자연환경 훼손과 지역 생태계 변화로 이어졌다
또한 간척으로 인해 해빈이 후퇴하거나 퇴적환경이 변화하는 양상이 확인되었고 일부 지역에서는 항만 도선장 방파제 등의 건설로 인해 해안선이 증가하기도 하였다 특히 태안화력발전소 인근 안흥 신항만 지역 등에서는 약 12km의 해안선이 인공적으로 확장되었다
현지 설문조사 결과 1980년 이전 간척지역은 식량 자급 및 자연재해 방지라는 긍정적 인식이 강했으나 이후 간척지 주민들은 오히려 소득 감소와 해양자원 상실 등 부정적 인식을 갖고 있었다 이는 간척 이후 농지의 생산성이 갯벌의 생물자원보다 낮게 인식되기 때문이었다
정책적으로는 간척이나 해안 개발 시 지역주민과의 협의 필요성 연안역 토지이용 변화 예측을 위한 사전 조사 및 데이터 구축의 필요성이 강조되었다 또한 해안 구조물에 의한 조석조류 변화 영향에 대한 장기적 연구 필요성과 함께 변화된 해안선 관리 및 복원 방안도 제안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태안반도의 해안선 변화가 단순한 지형 변화를 넘어 지역의 사회경제생태계 전반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입증하였으며 향후 기후변화 및 해수면 상승에 대비한 선제적 국토 및 연안 관리정책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는 실증연구로 평가된다
목차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 방법 및 선행연구 현황
1 연구방법
2 선행연구현황
1 국외연구
2 국내연구
3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3 연구지역 개관
1 태안반도의 지형
2 태안반도 지역의 간척
제2장 서해안의 해양 환경
1 한반도 서해안의 해수면 변동
2 서해안의 간석지 지형
1 간석지 지형의 형성
2 간석지의 가치와 기능
3 서해안 간석지의 분포
3 조류와 조석간만의 차
1 서해안의 해황
2 조석
제3장 GIS를 이용한 태안반도지역의 해안선 변화
1 연구방법
1 지리정보시스템GIS
2 GIS 구성요소
3 GIS의 분석방법
2 사용자료
3 지형도를 통한 태안반도 지역의 해안선 및 면적변화
1 시기별 해안선 및 면적
2 중첩분석을 통한 기간별 변화 분석
제4장 다중시기 원격탐사 자료를 이용한 토지이용 변화
1 연구방법
1 원격탐사 자료의 전처리
2 영상분류classification
3 분류의 정확도 측정classification
4 선분류 후비교법PostClassification Comparison
2 분석에 이용된 원격탐사 자료
3 태안반도 지역의 토지피복변화
1 1972년 토지피복
2 1984년 토지피복
3 1991년 토지피복
4 2000년 토지피복
5 2008년 토지피복
4 갯벌의 토지이용변화
1 각 시기별 갯벌의 토지이용
2 갯벌의 토지이용변화 탐지
3 갯벌 및 해빈 변화
제5장 간척사업에 대한 지역민들의 의식조사
1 설문조사 지역 및 설문방법
2 설문결과
제6장 요약 및 정책적 제언
1 요약
2 활용효과 및 방안
3 향후 과제
참고문헌
연구자의 다른 자료
-
장동호
2017 제2차 충남미래연구포럼(CNI세미나2017-033) (최돈정, 양규석, 나상일, 장동호, 김태우) 2017. 04. 26
연안 및 하구생태복원 관련 워크샵(김은경,전승수,장동호) 2013. 12. 04
충남 폐염전·폐양어장 생태 복원 및 활용방안 연구 2015. 06. 01
서해안 해수면상승에 따른 영향 및 대책 2008. 01. 01
도시근교 농촌지역의 실태 및 계획과제 -충남 아산시를 중심으로 2010. 01. 01
-
윤정미
충남 DB 구축 및 활용에 관한 워크숍(김영훈,윤정미) 2015. 01. 09
Global Open Innovation 세미나(이상호,윤정미,조준배,진현석) 2014. 06. 24
대전-당진,공주-서천간 고속도로 개통에 따른 충남의 발전 전략 심포지엄 (김경석,조봉운,임형빈,김정연,한상욱,오용준,윤정미,송지현,김성진,김경태) 2009. 05. 25
열린충남45호 2008. 12. 01
열린충남46호 2009. 04. 01
열린충남63호 2013. 06. 01
-
김장수
충청남도 서해안기후환경연구소 연구진간의 업무이해도 증진을 위한 워크숍(김영일,정우혁,김장수,김홍수,최정호,조병욱,이상신,윤종주,표정기) 2016. 02. 18
2015 연안 및 하구 생태복원 국제포럼(Peter Esselink, 이동영, Hongda Shi, 이상진, 우승범) 2015. 08. 20
연안 및 하구생태복원 대상지 선정기준 마련을 위한 전문가 워크숍 2015. 10. 23
연안 및 하구생태복원 대상지 선정기준 마련? 전문가 워크숍(권봉오,최광희) 2015. 07. 24
충청남도 하구현황 및 생태복원 방안 2014. 01. 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