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충남

내용
정부는 국토의 균형 발전과 성장 잠재력 극대화를 위해 전국을 7개 광역경제권으로 재편하는 정책을 추진 중이며 충청권은 행정중심복합도시 도청 신도시 기업도시 등 주요 개발사업이 집중된 핵심 권역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충청권에 대한 투자지출과 인구이동이 지역 및 국가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는 수도권충청권호남권동해권 등 4개 권역을 기준으로 CGE 모형을 개발하였으며 산업은 농림수산업 IT 산업 중저위기술산업 서비스업 등 7개로 분류하였다 또한 지역 간 인구이동 모듈과 집적경제 효과를 고려한 총요소생산성 모듈을 도입하여 보다 정밀한 분석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었다
정책 실험은 두 가지 시나리오를 설정하였다 첫째는 수도권의 정부 소비지출을 10포인트 줄이고 이를 충청권으로 이전하는 경우 둘째는 민간투자의 비중을 수도권에서 충청권으로 동일하게 이전하는 경우이다 두 시나리오 모두 충청권 경제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나 국가 전체 GDP에 대한 효과는 단기와 장기에서 다르게 나타났다
정부 소비지출 확대는 단기적으로 국내총생산 증가에 기여하지만 8년 이후부터 효과가 감소하며 오히려 부정적 영향으로 전환되는 반면 민간투자 확대는 초기에는 비효율성을 야기하나 1415년 이후부터 국가 경제 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시작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인구이동 시나리오에서는 수도권에서 충청권으로 50만 명의 인구가 이동할 경우 초반에는 GDP에 부정적 효과가 있으나 1215년 이후에는 경제성장률 증가로 전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충남은 중장기적으로 IT 고기술산업 부문을 중심으로 성장세가 뚜렷하게 예측되었다
연구는 단순한 공공 지출이 아닌 민간 투자 유치 중심의 시장 주도형 지역정책이 장기적으로 효과적이라고 결론짓고 있으며 지역 간 산업 구조 분석 생산성 향상 인구 유입 촉진을 위한 정교한 정책 설계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연구는 수도권충청권호남권동해권 등 4개 권역을 기준으로 CGE 모형을 개발하였으며 산업은 농림수산업 IT 산업 중저위기술산업 서비스업 등 7개로 분류하였다 또한 지역 간 인구이동 모듈과 집적경제 효과를 고려한 총요소생산성 모듈을 도입하여 보다 정밀한 분석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었다
정책 실험은 두 가지 시나리오를 설정하였다 첫째는 수도권의 정부 소비지출을 10포인트 줄이고 이를 충청권으로 이전하는 경우 둘째는 민간투자의 비중을 수도권에서 충청권으로 동일하게 이전하는 경우이다 두 시나리오 모두 충청권 경제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나 국가 전체 GDP에 대한 효과는 단기와 장기에서 다르게 나타났다
정부 소비지출 확대는 단기적으로 국내총생산 증가에 기여하지만 8년 이후부터 효과가 감소하며 오히려 부정적 영향으로 전환되는 반면 민간투자 확대는 초기에는 비효율성을 야기하나 1415년 이후부터 국가 경제 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시작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인구이동 시나리오에서는 수도권에서 충청권으로 50만 명의 인구가 이동할 경우 초반에는 GDP에 부정적 효과가 있으나 1215년 이후에는 경제성장률 증가로 전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충남은 중장기적으로 IT 고기술산업 부문을 중심으로 성장세가 뚜렷하게 예측되었다
연구는 단순한 공공 지출이 아닌 민간 투자 유치 중심의 시장 주도형 지역정책이 장기적으로 효과적이라고 결론짓고 있으며 지역 간 산업 구조 분석 생산성 향상 인구 유입 촉진을 위한 정교한 정책 설계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목차
제1장 문제의 제기
제2장 수도권 및 비수도권의 경제 효과 분석 사례
1 수도권 투자 효과가 비수도권보다 큰가
2 수도권의 생산성이 비수도권보다 큰가
3 수도권 정책 효과는 무엇인가
제3장 모형의 구조
제4장 분석
1 정부지출의 지역경제 효과
2 인구이동의 지역경제 효과
제5장 요약 및 한계
제2장 수도권 및 비수도권의 경제 효과 분석 사례
1 수도권 투자 효과가 비수도권보다 큰가
2 수도권의 생산성이 비수도권보다 큰가
3 수도권 정책 효과는 무엇인가
제3장 모형의 구조
제4장 분석
1 정부지출의 지역경제 효과
2 인구이동의 지역경제 효과
제5장 요약 및 한계
연구자의 다른 자료
-
임형빈
대전-당진,공주-서천간 고속도로 개통에 따른 충남의 발전 전략 심포지엄 (김경석,조봉운,임형빈,김정연,한상욱,오용준,윤정미,송지현,김성진,김경태) 2009. 05. 25
열린충남53호 2010. 12. 01
열린충남74호 2016. 03. 02
민선5기 경제도정 운영방향 연구(백운성,임준홍,임형빈,신동호,김양중,고석철,임치영,이상호,양성준,전영노,황정현,이상철) 2010. 07. 26
아산시·충남발전연구원 공동세미나 '2016년 전국체전 유치, 그리고 아산의 재도약' (장인식,임형빈,임준홍,백운성) 2011. 12. 20
전통시장연구회 세미나 (노화봉,임준홍,임형빈,권영현) 2011. 08. 31
-
김의준
열린충남2호 1995. 12. 01
열린충남2호 1995. 12. 01
Global Open Innovation 세미나(이상호,윤정미,조준배,진현석) 2014. 06. 24
탄소중립시대 기후대기환경 연구 현황과 지자체간 공동 연구 방향 검토(CNI-40) 2022. 06. 30
수도권 관리정책의 평가와 대응과제 토론회 (김용웅,정준호,변창흠/토론:강현수,김수상,변용환,이상대,최종훈,김기홍,김홍철,송우경,양금승) 2011. 12. 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