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간행물

간행물

충청남도 새마을역사관 건립 및 운영방안 연구
기획전략(2011년전)

충청남도 새마을역사관 건립 및 운영방안 연구

기간
2009. 01. 01 ~ 2009. 12. 31
연구책임자
우성호
연구자
박상철,장인호,김정연
키워드
충청남도,새마을역사관,건립,충남새마을,새마을회
다운로드

R_0912_충청남도 새마을역사관건립 및 운영방안 연구(우성호,김정연).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본 연구는 충청남도가 추진하는 새마을역사관의 건립 필요성과 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새마을운동은 1970년대 한국 농촌사회에 근대화의 기틀을 제공한 국민운동으로 근면자조협동의 가치를 통해 공동체 발전에 기여하였다 충남은 이러한 정신을 계승하고 국제적 전파 가능성까지 고려하여 새마을정신을 재조명하고자 역사관을 조성하려 한다
연구는 충남 새마을회와 대상지 관람객 특성 연계사업 등을 분석하고 경상북도 새마을역사관과 분당 중앙연수원 사례를 비교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전시관 구성은 단순 유물 중심이 아닌 스토리텔링 기반의 몰입형 전시로 기획되어야 하며 지역성과 시대성을 반영한 공간 구성과 콘텐츠 구성이 중요하다는 점이 강조되었다
전시 테마는 새마을운동의 과거현재미래를 아우르는 살아있는 역사로 설정되었으며 주요 전시 영역은 도입부 역사 주역 비전 영상실 및 자료실로 구분되었다 특히 19702000년대를 아우르는 시대별 전시와 더불어 제2새마을운동 및 국제 협력 활동까지 반영하여 과거에 머무르지 않는 현재진행형의 역사로 접근하고자 하였다
충남 고유의 예절 문화무연묘 벌초 선생님 찾아주기 등와 공동체 활동은 충남 새마을정신의 특수성을 드러내는 핵심 주제로 반영되었으며 주민의 자발적 기증과 참여를 통한 전시 운영은 지역 정체성과 공동체성을 동시에 강화하는 방식으로 설계되었다
운영방안에서는 전시설비 유지보수 소방재난관리 안전 및 청소계획 전시물 관리 매뉴얼 수립 등이 포함되었으며 홍보 전략으로는 도입기정착기확산기의 단계별 전략이 제시되었다 또한 방문객 맞춤형 콘텐츠 구성과 체험 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지역관광과 교육의 거점으로서 기능하도록 계획되었다
결론적으로 충남 새마을역사관은 단순한 기념관이 아니라 과거의 성과를 재조명하고 현대적 가치로 재해석하여 지역 발전과 국제 협력의 플랫폼으로 기능해야 하며 이를 위해 차별화된 전시 기획과 실효성 있는 운영계획 그리고 지역사회와의 유기적 연계가 필수적이라고 연구는 제안하였다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충청남도 새마을회 및 새마을역사관 건립계획 현황
제3장 관련사례 분석
제4장 전시계획 기본구상
제5장 전시운영 기본구상
제6장 결론 및 정책제언
참고문헌

연구자의 다른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