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간행물>정책지도

정책지도

충청남도 정체성을 위한 환경색채 연구
기획전략(2011년전)

충청남도 정체성을 위한 환경색채 연구

기간
2009. 01. 01 ~ 2009. 12. 31
연구책임자
임오연,이충훈
키워드
충청남도,정체성,환경색채,경관요소
다운로드

R_0912_충청남도 정체성을 위한 환경색채 연구(임오연,이충훈).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본 연구는 충청남도의 정체성과 문화적 정합성을 강화하기 위해 환경색채를 체계적으로 정립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통해 도시 및 농촌의 공공디자인 기본계획에 반영될 수 있는 색채 가이드라인을 개발하였다 연구는 지역 특성 자연환경 인공환경 역사문화 인문사회 환경 등을 종합 분석하여 권역별 색채 정체성을 구체화하였다
조사는 충남을 북부권 서해안권 중부권 백제권 금강권의 5대 권역으로 구분하여 권역별 상징 요소를 선정하고 자연환경산바다하늘 등 전통건축물 특산물 문화유산 등 총 250색을 기반으로 상징색을 도출하였다 이를 위해 설문조사 현장 측색 디지털 이미지 분석 등의 정량정성적 방법이 병행되었다
북부권은 첨단적 미래지향적 이미지를 반영한 은회색Cool Gray 4M 서해안권은 해양적이고 맑은 이미지를 담은 회갈색75YR 52 중부권은 전통적이고 너그러운 이미지의 황갈색75YR 64 백제권은 우아하고 섬세한 백제문화 상징의 금갈색25Y 712 금강권은 자연친화적이고 밝은 이미지의 진녹색5G 36으로 대표 색채가 선정되었다
이러한 색채는 단순 미관을 넘어서 지역 고유의 정체성과 문화적 정합성을 구현하는 수단으로 기능하며 도시경관 및 공공시설물 광고물 건축물 등에 적용 가능한 색채 범위 및 조화 체계Color Palette로 제시되었다 이는 향후 지역별 공공디자인 통일성과 일관성을 확보하는 기준이 될 수 있다
정책 제언으로는 각 권역별 공공디자인에 색채 가이드를 통합 적용하고 경관관리지역별 색채 지침을 마련하며 지역 주민 참여 기반의 색채 계획 수립 환경색채 전문 인력 양성 등이 필요하다고 지적되었다 더불어 충청남도의 차별화된 색채 정체성은 국제적 도시 이미지 구축에도 기여할 수 있음이 강조되었다

목차

Ⅰ 연구개요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3 연구의 기본방향
4 연구내용 및 방법
Ⅱ 현황조사 및 특성분석
1 지리적 특성분석
2 자연환경 및 역사문화환경의 특성분석
3 충청남도 권역별 개발 구상
4 도 시군의 CI 분석
5 도 시군 시화시목시조 분석
6 충청남도 및 16개 시군 CI의 색채일람표
Ⅲ 국내외 사례조사 및 분석
1 국내 사례조사
2 국외 사례조사 및 분석
3 충남의 상징적 요소
Ⅳ 환경색채 현황조사 및 분석
1 환경색채 조사 대상
2 환경색채 조사 및 분석 방법
3 자연환경 색채조사 및 분석
4 인공환경전통건축물 색채조사 및 분석
5 5대 권역별 환경색채 조사 및 분석
6 충청남도 5대 권역별 환경색채 일람표250색
Ⅴ 환경색채 가이드라인
1 권역별 조화 색채범위 추출
2 권역별 상징 색채 일람표
3 5대 권역별 지향이미지별 환경색채 가이드라인
4 색채 적용 Positioning Map
Ⅵ 활용도 및 기대효과 정책제안
1 활용 및 기대 효과
2 정책제안 및 추후 연구 진행방향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