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보고서

내용
부여는 충청남도 대표 역사도시로서 역사문화 자원을 바탕으로 도시이미지 형성을 시도했으며 도시 이미지 형성 모형을 통해 도시 정체성과 경쟁력을 강화하려는 전략이 수립되었다 핵심은 지역 내외 주민이 공유하는 역사문화도시 이미지 확립이다
역사문화도시 이미지 형성요소는 역사 문화예술 경관 산업경제 주민의식 다섯 가지로 구분되며 세부 항목 총 31개가 도출되었다 역사 자원은 우수한 반면 문화예술 기반과 도시경관 산업은 전반적으로 미흡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설문조사 결과 부여 주민들은 역사적 장소성과 유산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했지만 문화예술 활동 및 기반 도시경관 문화산업 주민참여 인식 등은 낮은 점수를 기록했다 이에 따라 부문별 전략은 이미지 강화 창출 대체 방식으로 분류되었다
역사 부문은 문화재의 브랜드화와 장소 마케팅 수변자원백마강 궁남지 중심 연계사업이 제시되었고 문화예술 부문은 기반 확충과 법제도 개선 종합적인 지원계획 수립 필요성이 강조되었다
도시경관은 고도보존법과 공공디자인 사업 연계를 통한 역사경관 정비가 요구되며 산업경제 부문은 백제 역사재현단지 기반 관광상품 개발과 영세 문화업체 벤처화로 경제기반 조성이 제안되었다
주민의식 부문은 역사문화도시 이미지에 대한 공감대 형성과 자발적 참여 기반 조성이 핵심으로 시범사업과 주민참여 정책 강화가 필요하다는 결론에 도달했다
역사문화도시 이미지 형성요소는 역사 문화예술 경관 산업경제 주민의식 다섯 가지로 구분되며 세부 항목 총 31개가 도출되었다 역사 자원은 우수한 반면 문화예술 기반과 도시경관 산업은 전반적으로 미흡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설문조사 결과 부여 주민들은 역사적 장소성과 유산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했지만 문화예술 활동 및 기반 도시경관 문화산업 주민참여 인식 등은 낮은 점수를 기록했다 이에 따라 부문별 전략은 이미지 강화 창출 대체 방식으로 분류되었다
역사 부문은 문화재의 브랜드화와 장소 마케팅 수변자원백마강 궁남지 중심 연계사업이 제시되었고 문화예술 부문은 기반 확충과 법제도 개선 종합적인 지원계획 수립 필요성이 강조되었다
도시경관은 고도보존법과 공공디자인 사업 연계를 통한 역사경관 정비가 요구되며 산업경제 부문은 백제 역사재현단지 기반 관광상품 개발과 영세 문화업체 벤처화로 경제기반 조성이 제안되었다
주민의식 부문은 역사문화도시 이미지에 대한 공감대 형성과 자발적 참여 기반 조성이 핵심으로 시범사업과 주민참여 정책 강화가 필요하다는 결론에 도달했다
목차
제 1 장 연구개요
1 연구배경 및 목적
1 연구배경
2 연구목적
2 연구범위 및 방법
1 연구범위
2 연구방법
3 연구추진과정
4 용어의 정의
제 2 장 이론적 고찰
1 도시이미지에 관한 연구
1 이미지 개념
2 도시이미지 개념
2 도시이미지 형성에 관한 연구
1 도시이미지 형성의 개념
2 도시이미지 형성요소에 관한 연구
3 도시이미지 형성 전략 및 사업유형
3 역사문화도시에 관한 연구
1 역사도시의 개념 및 요소
2 문화도시의 개념 및 요소
3 역사문화도시의 개념 및 요소
제 3 장 분석 틀의 설정
1 분석 내용과 절차
2 분석내용별 분석방법
1 역사문화도시이미지 형성요소 도출방법
2 역사문화도시이미지 형성요소에 대한 조사평가 절차 및 방법
3 역사문화도시 이미지 형성을 위한 전략 도출
제 4 장 사례조사
1 조사개요
2 역사문화도시이미지 형성 사례
1 고도의 이미지를 강화한 교토
2 살아있는 역사문화도시 볼로냐
3 역사문화를 관광자원화한 가나자와
3 조사 종합
제 5 장 부여 역사문화도시이미지 형성요소 조사 분석
1 현황조사분석
1 역사
2 문화예술
3 경관
4 산업경제
5 분석종합
2 도시이미지 조사분석
1 부여 도시이미지 조사 1차 예비설문
2 부여 역사문화도시이미지 형성요소에 대한 조사 2차 설문
제 6 장 부여 역사문화도시이미지 형성방안
1 기본방향
2 도시이미지 형성방안
1 역사부문
2 문화예술부문
3 역사문화적 도시경관 정비
4 역사문화에 기반한 문화콘텐츠 산업 육성
5 도시 미래이미지의 공유
참고 문헌
부록 1 부여군 일반현황
부록 2 부여 도시이미지 분석을 위한 예비 설문 조사
부록 3 부여 역사문화도시 이미지 형성을 위한 지역주민 설문조사
부록 4 부여 역사문화도시 이미지 형성을 위한 주민 설문조사2차 내용 분석
1 연구배경 및 목적
1 연구배경
2 연구목적
2 연구범위 및 방법
1 연구범위
2 연구방법
3 연구추진과정
4 용어의 정의
제 2 장 이론적 고찰
1 도시이미지에 관한 연구
1 이미지 개념
2 도시이미지 개념
2 도시이미지 형성에 관한 연구
1 도시이미지 형성의 개념
2 도시이미지 형성요소에 관한 연구
3 도시이미지 형성 전략 및 사업유형
3 역사문화도시에 관한 연구
1 역사도시의 개념 및 요소
2 문화도시의 개념 및 요소
3 역사문화도시의 개념 및 요소
제 3 장 분석 틀의 설정
1 분석 내용과 절차
2 분석내용별 분석방법
1 역사문화도시이미지 형성요소 도출방법
2 역사문화도시이미지 형성요소에 대한 조사평가 절차 및 방법
3 역사문화도시 이미지 형성을 위한 전략 도출
제 4 장 사례조사
1 조사개요
2 역사문화도시이미지 형성 사례
1 고도의 이미지를 강화한 교토
2 살아있는 역사문화도시 볼로냐
3 역사문화를 관광자원화한 가나자와
3 조사 종합
제 5 장 부여 역사문화도시이미지 형성요소 조사 분석
1 현황조사분석
1 역사
2 문화예술
3 경관
4 산업경제
5 분석종합
2 도시이미지 조사분석
1 부여 도시이미지 조사 1차 예비설문
2 부여 역사문화도시이미지 형성요소에 대한 조사 2차 설문
제 6 장 부여 역사문화도시이미지 형성방안
1 기본방향
2 도시이미지 형성방안
1 역사부문
2 문화예술부문
3 역사문화적 도시경관 정비
4 역사문화에 기반한 문화콘텐츠 산업 육성
5 도시 미래이미지의 공유
참고 문헌
부록 1 부여군 일반현황
부록 2 부여 도시이미지 분석을 위한 예비 설문 조사
부록 3 부여 역사문화도시 이미지 형성을 위한 지역주민 설문조사
부록 4 부여 역사문화도시 이미지 형성을 위한 주민 설문조사2차 내용 분석
연구자의 다른 자료
-
박철희
도민 문화향유 기회 확대방안 세미나 (이형호, 조한영, 이선철, 박철희) 2016. 12. 26
2014 한국도시설계학회 충청지회(박철희,김승근) 2014. 11. 28
2012 행복충남 실현을 위한 내발적 발전 전략연구 보고대회 (고승희,신동호,강마야,송두범,박철희) 2012. 10. 24
공주시 문화예술진흥 계획 2020. 04. 01
충청남도 이미지 실태조사 연구 2009. 01. 01
충남리포트-(제280호) 충남 문화예술인 클러스터 실태와 활성화 방안 2017. 11.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