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미나

내용
도내 공공비점오염물질 저감시설은 대부분 강우 시 외에는 무용지물로 실제 운영 실태는 매우 비효율적이다 특히 일부 시설은 점오염원 처리에 활용되거나 철거 중으로 설치 취지와 맞지 않는 활용 사례가 드러났다
유기물의 주요 배출원은 강우와 무관한 생활하수와 가축분뇨로 수질 오염이 심화되는 시기는 저수기갈수기이다 하천 수질 개선을 위해서는 비점오염보다 점오염 중심의 대책이 우선되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되었다
자연형 저감시설로는 인공습지 저류지 침투시설 등이 있고 장치형 시설로는 스크린형 응집침전형 생물처리형 등이 제시된다 충남 실정에 맞는 시설은 자연 상태에 가까운 정화형 습지로 평가되었다
개선 방안으로는 유역 특성에 맞춘 관리체계 재정립 실제 배출량 기준의 산정 방식 개선 점오염물질 우선 관리 필요성이 강조되며 환경부와 도시농림 등 관련 부서 간 협력 체계 구축이 요구된다
결론적으로 비점오염물질 저감시설은 지자체의 실정과 유역 특성에 맞게 설치운영되어야 하며 과도한 표준 적용 대신 유연한 정책 설계 비용 대비 효과 분석 법적 기준 개선 등이 수반돼야 한다는 방향이 제시되었다
목차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1 연구 배경
2 연구 목적
제2절 연구 범위와 방법
1 연구 범위
2 연구 방법
3 선행연구와 차별성
4 용어 정의
제2장 비점오염의 이론 및 국내외 관리 동향
제1절 비점오염의 이론고찰
1 비점오염물질 발생 및 배출특성
2 비점오염물질 저감기술
제2절 국내외 비점오염물질 관리 동향
1 우리나라 현황 및 법률체계
2 외국의 비점오염물질관리 체계
제3장 충청남도 비점오염물질 발생특성 및 저감시설 운영실태
제1절 비점오염물질 발생특성
1 비점오염물질 발생량산정 및 배출시기
2 비점오염물질 배출과 방류수역의 상관성
제2절 비점오염저감시설의 운영실태
1 조사 대상 및 시기
2 설치 및 운영관리실태
제4장 비점오염물질 저감시설의 설치방안
제1절 비점오염물질 관리개념의 재정립
1 비점오염물질 배출량 산출방안
2 비점오염원 관리의 개선방안
제2절 저감시설의 설치방안
1 시설설치의 기본방향
2 공공저감시설의 설치
3 개별저감시설의 설치
제5장 결론 및 제언
1 요약 및 결론
2 정책제언
3 연구의 한계
연구자의 다른 자료
-
정우혁
충청남도 서해안기후환경연구소 연구진간의 업무이해도 증진을 위한 워크숍(김영일,정우혁,김장수,김홍수,최정호,조병욱,이상신,윤종주,표정기) 2016. 02. 18
지방공기업 경영평가 관계자 합동 워크숍(CNI세미나2017-031)(정우혁) 2017. 04. 20
충청남도 수자원관리 토론회(김은수, 김성준, 임재림, 김인수) 2016. 03. 29
서해안기후환경연구소 개소 2주년 워크숍(CNI세미나2017-056) (윤종주,정우혁) 2017. 03. 29
열린충남73호 2015. 12. 01
열린충남70호 2015. 04. 01
-
이상진
큰빗이끼벌레 출현 대응책 마련을 위한 민관 전문가 합동 토론회(이상진,서지은) 2014. 08. 14
2015 연안 및 하구 생태복원 국제포럼(Peter Esselink, 이동영, Hongda Shi, 이상진, 우승범) 2015. 08. 20
금강 물환경 정책마련을 위한 전문가 워크숍 개최 계획 (이상진) 2012. 11. 27
국가균형발전 12주년 학술 심포지엄(홍성호,황혜란,정희윤,이상진,류종현) 2016. 01. 29
역간척(逆干拓) 용어정리 관련 워크숍 (이상진) 2013. 11. 19
연안 및 하구생태복원 추진방안 모색을 위한 워크숍(중천,김종성,권봉오,이상진) 2014. 03. 21
-
이상득
충청남도 가축분뇨처리 시설의 운영실태 분석 및 관리방안 2008. 01. 01
충청남도 공공하수처리시설의 운영실태 분석 및 관리방안 2007. 01. 01
2018지방공기업경영평가 2018. 03. 01
(CNI세미나 2024-104) 충남연구원 2024 연구성과발표회 2024. 12. 19
소형 어선에 의한 충남지역 대기오염물질 배출 및 영향분석 기초 연구 2020. 05. 01
-
김건하
충남의 가축매몰지 및 축사 입지환경 분석과 정책제언 2017. 06. 01
금강수계 환경기초조사사업 4단계 기본계획 수립 2017. 06. 01
농어업인 삶의 질 향상 시행계획 환경.경관 부문 지역평가:지속가능한 농어업생산 환경 조성 2017. 08. 07
2009년도 기본과제 연구성과 연찬회 2010. 03. 02
금강유역 4개 시·도연구원 및 녹색환경지원센터 간 공동세미나(CNI 세미나 2024-91) 2024. 11.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