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행물

내용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지방단위 CO₂ 배출량 추정 연구는 충남 보령시를 사례로 하여 위성영상 기반의 토지피복이용 정보를 활용한 새로운 방법론을 제시한다 이는 기존의 에너지 소비 기반 방식이 가지는 자연적 흡수량 누락 문제를 보완하는 데 중점을 둔다
고해상도 위성영상Quickbird KOMPSAT2과 수치지적도를 활용해 보다 정밀한 토지피복이용도를 구축한 후 각 피복 유형별 CO₂ 배출흡수 계수를 적용해 면적 단위 배출량을 추정하고 여기에 점선 오염원의 배출량을 합산해 지역의 순 배출량을 산정한다
토지피복 분류 정확도 향상을 위해 RGB 밴드 외에 NIR 밴드가 필수적이며 Quickbird 영상만으로는 식생 구분에 한계가 존재한다 KOMPSAT2는 높은 정밀도와 해상도를 바탕으로 토지피복이용도를 효과적으로 생성할 수 있었다
기존 환경부 자료는 정확도와 최신성이 떨어지며 인위적 분류 오류가 존재한다 위성영상 분석을 통해 불법 경작 갯벌 등 기존 자료로는 확인할 수 없는 피복 변화와 현황을 실시간 반영할 수 있다
5클래스 분류는 안정적이지만 세부 구분에 한계가 있으며 15클래스 분류는 세분화가 가능하나 분류 오류 가능성이 증가한다 향후에는 LiDAR DEM 데이터 결합을 통해 정밀한 분류와 배출량 예측 모델이 기대된다
이 연구는 지방자치단체에서 기후변화 대응정책 수립에 필요한 저비용고효율 모델을 제공하고 지역 단위 탄소배출 인벤토리 구축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는 의의를 가진다
고해상도 위성영상Quickbird KOMPSAT2과 수치지적도를 활용해 보다 정밀한 토지피복이용도를 구축한 후 각 피복 유형별 CO₂ 배출흡수 계수를 적용해 면적 단위 배출량을 추정하고 여기에 점선 오염원의 배출량을 합산해 지역의 순 배출량을 산정한다
토지피복 분류 정확도 향상을 위해 RGB 밴드 외에 NIR 밴드가 필수적이며 Quickbird 영상만으로는 식생 구분에 한계가 존재한다 KOMPSAT2는 높은 정밀도와 해상도를 바탕으로 토지피복이용도를 효과적으로 생성할 수 있었다
기존 환경부 자료는 정확도와 최신성이 떨어지며 인위적 분류 오류가 존재한다 위성영상 분석을 통해 불법 경작 갯벌 등 기존 자료로는 확인할 수 없는 피복 변화와 현황을 실시간 반영할 수 있다
5클래스 분류는 안정적이지만 세부 구분에 한계가 있으며 15클래스 분류는 세분화가 가능하나 분류 오류 가능성이 증가한다 향후에는 LiDAR DEM 데이터 결합을 통해 정밀한 분류와 배출량 예측 모델이 기대된다
이 연구는 지방자치단체에서 기후변화 대응정책 수립에 필요한 저비용고효율 모델을 제공하고 지역 단위 탄소배출 인벤토리 구축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는 의의를 가진다
목차
제1장 서론
11 연구 배경
12 연구의 필요성
13 연구 목적
14 방법론과 데이터
15 연구의 차별성과 의의
제2장 선행연구 및 문헌고찰
21 에너지 투입량에 의한 추정 연구
22 산업연관분석을 이용한 CO2 배출량 추정
23 발전 및 폐기물 소각에 의한 이산화탄소 배출량 추정
24 축산 농기계 가정부문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 배출량 추정
25 RS와 GIS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배출량 추정에 관한 연구
251 토지피복을 이용한 온실가스 배출량 추정
31 유사 주제의 고해상도 영상분석 관련 연구동향 및 차별성
32 영상분석과정
321 원영상의 분석과 특성
322 토지이용과 토지피복의 관점의 차이
323 지리위치 보정과정 GeoRectification
324 분석을 위한 전前 처리 과정
325 퀵버드 영상의 분석 흐름
326 다목적 실용위성 2호KOMPSAT2의 분석
33 영상분석결과
331 퀵버드 영상의 결과
332 다목적 실용위성 2호 영상의 분석결과
34 분석결과의 정밀도 분석
341 주요주제도의 경계 불일치와 분류의 부정합성
342 환경부 중분류토지피복도와 위성영상 분석결과의 비교
343 수치지적도 퀵버드와 KOMPSAT2 위성영상의 분석결과의 비교
344 혼재된 토지피복의 구분 초지와 숲의 분해 사례
345 소결
35 향후 계획 2차년도 2010년
제4장 요약 및 결론
11 연구 배경
12 연구의 필요성
13 연구 목적
14 방법론과 데이터
15 연구의 차별성과 의의
제2장 선행연구 및 문헌고찰
21 에너지 투입량에 의한 추정 연구
22 산업연관분석을 이용한 CO2 배출량 추정
23 발전 및 폐기물 소각에 의한 이산화탄소 배출량 추정
24 축산 농기계 가정부문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 배출량 추정
25 RS와 GIS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배출량 추정에 관한 연구
251 토지피복을 이용한 온실가스 배출량 추정
31 유사 주제의 고해상도 영상분석 관련 연구동향 및 차별성
32 영상분석과정
321 원영상의 분석과 특성
322 토지이용과 토지피복의 관점의 차이
323 지리위치 보정과정 GeoRectification
324 분석을 위한 전前 처리 과정
325 퀵버드 영상의 분석 흐름
326 다목적 실용위성 2호KOMPSAT2의 분석
33 영상분석결과
331 퀵버드 영상의 결과
332 다목적 실용위성 2호 영상의 분석결과
34 분석결과의 정밀도 분석
341 주요주제도의 경계 불일치와 분류의 부정합성
342 환경부 중분류토지피복도와 위성영상 분석결과의 비교
343 수치지적도 퀵버드와 KOMPSAT2 위성영상의 분석결과의 비교
344 혼재된 토지피복의 구분 초지와 숲의 분해 사례
345 소결
35 향후 계획 2차년도 2010년
제4장 요약 및 결론
연구자의 다른 자료
-
장은미
공간정보 기반의 충남 소방분야 안전지수 산정 2016. 04. 01
[시민사회 지원 작은 연구사업] 2015년 하반기 연구지원사업 성과보고회 및 2016년 시민단체와의 간담회 2016. 04. 12
2009년도 기본과제 연구성과 연찬회 2010. 03. 02
-
이인희
사회적 비용과 원가주의를 반영한 전기요금 체계 개편 국회 정책 토론회(박광수,이인희,이정호) 2015. 05. 12
내포시대 충남 비전 수립을 위한 워크숍(김정섭,강현수,박종서,이인희,김선배) 2012. 06. 20
다문화가정의 문제점과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 (모선희,이인희) 2008. 01. 01
열린충남48호 2009. 10. 01
열린충남56호 2011. 09. 01
열린충남63호 2013. 06. 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