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행물

내용
1 충남의 역사지리적 특징
1 忠淸道 명칭의 유래와 충남의 등장
충청도의 명칭은 고려시대에 처음 등장忠州와 淸州의 머리글자 조합
충청도의 권역은 조선시대에 와서 의미를 지니기 시작 충주권 청주권 공주권 홍주권
충북지역은 삼국시대 백제의 변경지역으로 일시적으로 고구려 신라의 영역에도 편입 통일신라의 중원경 서원경 등 중원문화권백제문화권은 충북과는 관련 적음
충남의 등장은 1896년 홍주권 공주권 청주권의 일부 37개군 충북은 18개군 권역에 따른 지역정서의 차이 현존
2 홍주권의 내포
內浦라는 지명은 고려말부터 전라도의 조운로와 관련하여 사용되기 시작
조선시대 내포의 지역범위는 ① 내포 중의 내포라고 할 수 있는 삽교천 유역 ② 이중환의 택리지에서 언급한 가야산 주위의 10여 고을 ③ 조선시대 이 지역 행정의 중심지였던 홍주목과 관련한 홍주진관 소관의 20여 고을
내포의 지리적 특징 非山非野 금북정맥 중심산은 伽倻山불교적 이미지 포구발달 수로이용
대외적으로 바닷길이 개방되어 있을 때에는 외국문물 수용의 창구마애불 안흥과 당진항 폐쇄되어 있을 때에는 잦은 외국세력의 침투여말선초 왜구 조선후기 이양선 출몰
내포문화의 특징 해양성 개방성 선진성
이후 생략
1 忠淸道 명칭의 유래와 충남의 등장
충청도의 명칭은 고려시대에 처음 등장忠州와 淸州의 머리글자 조합
충청도의 권역은 조선시대에 와서 의미를 지니기 시작 충주권 청주권 공주권 홍주권
충북지역은 삼국시대 백제의 변경지역으로 일시적으로 고구려 신라의 영역에도 편입 통일신라의 중원경 서원경 등 중원문화권백제문화권은 충북과는 관련 적음
충남의 등장은 1896년 홍주권 공주권 청주권의 일부 37개군 충북은 18개군 권역에 따른 지역정서의 차이 현존
2 홍주권의 내포
內浦라는 지명은 고려말부터 전라도의 조운로와 관련하여 사용되기 시작
조선시대 내포의 지역범위는 ① 내포 중의 내포라고 할 수 있는 삽교천 유역 ② 이중환의 택리지에서 언급한 가야산 주위의 10여 고을 ③ 조선시대 이 지역 행정의 중심지였던 홍주목과 관련한 홍주진관 소관의 20여 고을
내포의 지리적 특징 非山非野 금북정맥 중심산은 伽倻山불교적 이미지 포구발달 수로이용
대외적으로 바닷길이 개방되어 있을 때에는 외국문물 수용의 창구마애불 안흥과 당진항 폐쇄되어 있을 때에는 잦은 외국세력의 침투여말선초 왜구 조선후기 이양선 출몰
내포문화의 특징 해양성 개방성 선진성
이후 생략
목차
제1주제 충남 전통문화의 현대적 조명 임선빈 한국학중앙연구원
1 충남의 역사지리적 특징
2 충남 전통문화의 상징
3 충남의 정체성 발견과 충남정신
제2주제 자치단체의 공공디자인 기본계획 방향 추용욱 강원발전연구원
1 공공디자인의 인식
2 공공디자인 정책 기본방향
3 자치단체 공공디자인 정책 추진사례
4 자치단체 공공디자인 추진방향
5 마치며
제3주제 충남의 공공디자인 추진 전략 이광영 남서울대학교수
1 공공디자인의 비전 및 목표
2 공공디자인의 추진배경
3 공공디자인의 추진방향
4 공공디자인의 추진전략 체계도
5 경쟁력 확보를 위한 공공디자인 조직체계도
6 공공디자인에 의한 도시 전체 지구단위 M P
7 추진전략별 핵심 세부과제
8 단계별 추진계획
9 도시경쟁력을 위한 공공디자인 핵심사업
1 충남의 역사지리적 특징
2 충남 전통문화의 상징
3 충남의 정체성 발견과 충남정신
제2주제 자치단체의 공공디자인 기본계획 방향 추용욱 강원발전연구원
1 공공디자인의 인식
2 공공디자인 정책 기본방향
3 자치단체 공공디자인 정책 추진사례
4 자치단체 공공디자인 추진방향
5 마치며
제3주제 충남의 공공디자인 추진 전략 이광영 남서울대학교수
1 공공디자인의 비전 및 목표
2 공공디자인의 추진배경
3 공공디자인의 추진방향
4 공공디자인의 추진전략 체계도
5 경쟁력 확보를 위한 공공디자인 조직체계도
6 공공디자인에 의한 도시 전체 지구단위 M P
7 추진전략별 핵심 세부과제
8 단계별 추진계획
9 도시경쟁력을 위한 공공디자인 핵심사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