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보고서

내용
사회적기업의 역사
유럽
1970년대 후반 복지국가 위기에 따른 복지제도 개혁 과정에서 공공서비스의 민영화와 제3섹터의 중요성 부각사회적기업 개념 출현
1980년대 중반 이후 높은 실업률과 사회적 배제층 증가 등 사회문제 해결 및 사회통합을 위한 방안으로 사회적기업 제도화EU 사회적기업 고용 비중 7 내외
미국
1980년 레이거노믹스 등장과 함께 연방정부의 사회복지예산 감축 비영리 기관의 재정자립도 향상 요구 비영리 공익활동 지속을 위한 수익사업 일반화빌 드레이튼 사회적기업 용어 최초 사용
1990년대 노동시장 부적응 빈곤층을 위한 경과적 일자리 제공을 위한 모델로 사회적기업 부각
1990년대 이후 IT 산업 성공에 따른 벤처 자선가 증가로 사회적기업가 정신세계적 확산 지원
한국
19701980년대 빈민운동 협동조합 운동 경험이 외환위기 이후 자활사업 만간 위탁 공공근로 등을 통해 확산
참여 정부 들어 저출산 고령화 사회 양극화에 대한 대응책으로 사회적 일자리 사업모델 도입 및 사회적기업 논의 본격화
2006년 말 사회적기업 육성법 제정200771 시행으로 사회적기업 제도화
이후 생략
유럽
1970년대 후반 복지국가 위기에 따른 복지제도 개혁 과정에서 공공서비스의 민영화와 제3섹터의 중요성 부각사회적기업 개념 출현
1980년대 중반 이후 높은 실업률과 사회적 배제층 증가 등 사회문제 해결 및 사회통합을 위한 방안으로 사회적기업 제도화EU 사회적기업 고용 비중 7 내외
미국
1980년 레이거노믹스 등장과 함께 연방정부의 사회복지예산 감축 비영리 기관의 재정자립도 향상 요구 비영리 공익활동 지속을 위한 수익사업 일반화빌 드레이튼 사회적기업 용어 최초 사용
1990년대 노동시장 부적응 빈곤층을 위한 경과적 일자리 제공을 위한 모델로 사회적기업 부각
1990년대 이후 IT 산업 성공에 따른 벤처 자선가 증가로 사회적기업가 정신세계적 확산 지원
한국
19701980년대 빈민운동 협동조합 운동 경험이 외환위기 이후 자활사업 만간 위탁 공공근로 등을 통해 확산
참여 정부 들어 저출산 고령화 사회 양극화에 대한 대응책으로 사회적 일자리 사업모델 도입 및 사회적기업 논의 본격화
2006년 말 사회적기업 육성법 제정200771 시행으로 사회적기업 제도화
이후 생략
목차
[제1주제]사회적기업 현황 및 육성정책 이강연 노동부 지역고용사회적기업 사무관
I사회적기업의 의의
II사회적기업 및 정책 현황
III사회적기업 육성 정책방향
[제2주제]국내외 사회적기업 사례로 본 성공요건 서성원 사회적기업 지원 전북 네트워크 간사
I사회적기업 육성법 시행 2년의 성과와 한계
Ⅱ문제의 진단
Ⅲ사회적기업 활성화를 위한 지역화 전략 필요성
Ⅳ사회적기업은 지역경제발전과 지방자치단체 행정에 어떻게 기여하는가
V각 지방자치단체의 사회적기업 지원 현황
Ⅵ전라북도의 사회적기업 지원정책
Ⅶ지자체 지원제도의 문제점
Ⅷ민관 협력을 통한 사회적기업 활성화 어떻게 시작할 것인가
Ⅸ업종별 사회적기업 지역화전략
Ⅹ사회적기업 접근의 발상을 전환하자
[제3주제]충청남도 사회적기업의 가능성과 육성과제 이용재 호서대학교 교수
I사회적기업의 정의
Ⅱ사회적 기업이 충청남도에 미치는 영향
Ⅲ충청남도 사회적 기업의 현재
Ⅳ충청남도 사회적 기업이 활성화 되지 못하고 있는 원인들
V충청남도 사회적 기업 활성화 가능성은
Ⅵ충청남도 사회적 기업 육성을 위한 전략
Ⅶ사회적 기업을 어떻게 지원해야 할 것인가
Ⅷ사회적 기업 지원기관 호서대학교
I사회적기업의 의의
II사회적기업 및 정책 현황
III사회적기업 육성 정책방향
[제2주제]국내외 사회적기업 사례로 본 성공요건 서성원 사회적기업 지원 전북 네트워크 간사
I사회적기업 육성법 시행 2년의 성과와 한계
Ⅱ문제의 진단
Ⅲ사회적기업 활성화를 위한 지역화 전략 필요성
Ⅳ사회적기업은 지역경제발전과 지방자치단체 행정에 어떻게 기여하는가
V각 지방자치단체의 사회적기업 지원 현황
Ⅵ전라북도의 사회적기업 지원정책
Ⅶ지자체 지원제도의 문제점
Ⅷ민관 협력을 통한 사회적기업 활성화 어떻게 시작할 것인가
Ⅸ업종별 사회적기업 지역화전략
Ⅹ사회적기업 접근의 발상을 전환하자
[제3주제]충청남도 사회적기업의 가능성과 육성과제 이용재 호서대학교 교수
I사회적기업의 정의
Ⅱ사회적 기업이 충청남도에 미치는 영향
Ⅲ충청남도 사회적 기업의 현재
Ⅳ충청남도 사회적 기업이 활성화 되지 못하고 있는 원인들
V충청남도 사회적 기업 활성화 가능성은
Ⅵ충청남도 사회적 기업 육성을 위한 전략
Ⅶ사회적 기업을 어떻게 지원해야 할 것인가
Ⅷ사회적 기업 지원기관 호서대학교
동일한 유형의 자료
-
-
연구정책조성/심포지엄2017 한.중 사회경제 발전 국제 심포지엄(CNI세미나2017-173)(송두범,위안뤼쥔,팡시,쉬진,정경록,쉬자량,박춘섭,한익수,타이펑픙,이홍택,우뤼,위주청,홍원표)2017. 12. 05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