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간행물

간행물

고령화 시대에 대응한 건강문화클러스터 조성전략 모색을 위한 세미나 (양진흥,이관률,윤정미,김영)
연구정책조성/세미나

고령화 시대에 대응한 건강문화클러스터 조성전략 모색을 위한 세미나 (양진흥,이관률,윤정미,김영)

기간
2009. 12. 16 ~ 2009. 12. 16
키워드
건강,클러스터,고령화,실버산업,녹색성장,자족공간,문화시설,복지
다운로드

20091217-고령화시대에 대응한 건강문화 클러스터 조성전략 모색.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제1주제]건강문화클러스터와 정책방향 (양진흥).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제2주제]아산 건강문화클러스터의 기본구상과 추진전략 (이관률,윤정미).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제3주제]건강도시 추진과정과 건강문화사업 추진전략 (김영).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웰빙문화 확산과 고령화 도시환경 악화 등 복합적 문제 해결을 위해 건강문화클러스터가 제안되었으며 이는 노후복지 첨단의료 체육문화시설이 융합된 자족형 복합지구 조성을 목표로 한다 특히 도시공원의 부족과 노인 의료비 증가가 주요 배경으로 언급되었다
건강문화클러스터는 주제공원 기반의 건강문화생태회랑 노인임대주택 첨단보건의료시설 실버산업지구 등을 포함하며 평균 약 10 규모로 전국 40개소 조성이 계획되었다 회랑은 도시 간 네트워크 구축과 환경친화적 개발의 촉진 역할을 수행한다
주요 기능은 국민건강 증진 녹색산업 매개 지역국가 간 네트워크 중심지 복합형 의료클러스터 및 향토산업 활성화로 제시되며 저탄소 녹색성장 도시 구현을 위한 기반으로 강조되었다 또한 도시농촌 간 연계와 통합적인 공간정책도 제안되었다
추진전략으로는 건강문화융합특별구역 지정 민관협력체계 구축 영구임대방식 토지이용 노후복지저축제도 도입 시민자본 형성이 포함된다 총 428조 원 규모의 사업이며 수도권 35 비수도권 65 투자로 국토균형발전이 목표이다
아산시는 온천 자연 역사문화자원을 기반으로 건강문화클러스터 시범도시로 제시되었으며 지역 대학 산업단지 의료기관과 연계한 실버산업 육성 및 보건의료 인프라 확충 전략이 마련되었다 충청권 광역경제권과 연계한 메디컬 콤플렉스 추진도 언급되었다
건강문화클러스터는 국민건강 증진 실버계층 케어시스템 주택시장 안정 청년저소득층 지원 일자리 창출 산업 선진화 국토균형발전 등 다각적 효과를 기대하고 있으며 궁극적으로 삶의 질 향상과 지속가능한 도시구조 구축을 지향한다

목차

기조강연
우리도시의 변화와 건강문화클러스터
주제발표
1 건강문화클러스터와 정책방향
2 아산 건강문화클러스터의 기본구상과 개발전략
3 건강도시 추진과정과 건강문화사업 추진전략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