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지도

내용
본 연구는 충남도청의 현행 성과관리제도를 민선 5기를 기점으로 하여 효율적인 통합성과관리 운영방안을 모색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현재 충남도청에서 목표관리제 실국장 책임 경영제 성과관리BSC 제도가 운용되고 있는 상황에서 본 연구는 기초적인 연구로서 현행 제도의 현황과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또한 타 광역자치단체 수준에서 도입운영 중인 성과관리제도를 파악하여 충남도청에 접목 가능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나아가 충남도청 관리층 공무원들을 중심으로 현행 성과관리제도에 대한 인식과 현행 체계에서 성과관리제도 운용의 효과성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이 분석을 토대로 하여 통합성과관리 모형을 설계하였다
이후 생략
이후 생략
목차
제1장 서 론
제 1절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제 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1 연구의 범위
2 연구의 방법
제2장 통합성과관리의 이론적 검토
제 1절 성과관리의 개념
1 성과관리의 개념
제 2절 성과관리 제도
1 목표관리제도MBO
2 책임경영제도
3 균형성과제도BSC
4 직무성과계약제도
제 3절 광역자치단체 성과관리 운영 사례
1 서울특별시
2 부산광역시
3 경기도
4 경상남도
5 주요 광역자치단체 성과관리제도 요약
제3장 충남도청의 성과관리제도 운영실태
제 1절 성과관리 제도 현황
1 실국장 책임경영제도
2 목표관리제MBO 제도
3 성과관리 제도
제 2절 성과관리 제도의 인식조사
1 개 관
2 측정변수와 분석기법
3 성과관리의 제도적 요인에 대한 인식
4 성과관리의 운영적 요인에 대한 인식
5 성과관리제도의 효과성
6 성과관리제도의 효과성에 대한 집단간 인식 분석
7 성과관리 효과성에 미치는 요인 분석
제 3절 현행 성과관리 제도 운영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1 실국장 책임경영제도 운영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2 목표관리제도
3 성과관리제도
제4장 충남도청의 통합성과관리 운영방안
제 1절 통합성과관리 모형의 방향
제 2절 충남도청 통합성과관리 운영방안
1 성과관리와 직무성과 계약제를 통한 통합성과관리모형 1안
2 성과관리 직무성과계약제 결과를 활용한 성과연봉제 운영모형모형 2안
3 종합
제5장 결 론
제 1절 연구결과의 요약
제 2절 정책적 제언
참고문헌
제 1절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제 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1 연구의 범위
2 연구의 방법
제2장 통합성과관리의 이론적 검토
제 1절 성과관리의 개념
1 성과관리의 개념
제 2절 성과관리 제도
1 목표관리제도MBO
2 책임경영제도
3 균형성과제도BSC
4 직무성과계약제도
제 3절 광역자치단체 성과관리 운영 사례
1 서울특별시
2 부산광역시
3 경기도
4 경상남도
5 주요 광역자치단체 성과관리제도 요약
제3장 충남도청의 성과관리제도 운영실태
제 1절 성과관리 제도 현황
1 실국장 책임경영제도
2 목표관리제MBO 제도
3 성과관리 제도
제 2절 성과관리 제도의 인식조사
1 개 관
2 측정변수와 분석기법
3 성과관리의 제도적 요인에 대한 인식
4 성과관리의 운영적 요인에 대한 인식
5 성과관리제도의 효과성
6 성과관리제도의 효과성에 대한 집단간 인식 분석
7 성과관리 효과성에 미치는 요인 분석
제 3절 현행 성과관리 제도 운영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1 실국장 책임경영제도 운영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2 목표관리제도
3 성과관리제도
제4장 충남도청의 통합성과관리 운영방안
제 1절 통합성과관리 모형의 방향
제 2절 충남도청 통합성과관리 운영방안
1 성과관리와 직무성과 계약제를 통한 통합성과관리모형 1안
2 성과관리 직무성과계약제 결과를 활용한 성과연봉제 운영모형모형 2안
3 종합
제5장 결 론
제 1절 연구결과의 요약
제 2절 정책적 제언
참고문헌
연구자의 다른 자료
-
임현준,고승희
충청남도 지방공기업경영평가 합동 워크숍(임현준) 2015. 03. 31
지방공기업평가 경영개선을 위한 워크숍 (김용운,임현준) 2013. 10. 17
2018지방공기업경영평가 2018. 03. 01
충청남도 성과관리제도(BSC)의 수용성 향상방안 2010. 01. 01
지방공기업경영평가의 수용성 분석 2013. 01. 01